Archive for April, 2012

April 3, 2012: 11:29 am: bluemosesErudition

“My choosing of the worse when I know the better: O Lord, forgive.” “Lord of my life, to whose service I would fain be loyal.” “This day, O Lord give me meekness of bearing, with decision of character.”(John Baillie)

: 3:41 am: bluemosesErudition

“이정희 후보가 문자로 여론조작을 했다면 이명박 대통령이 댓글 알바로 영구집권할거라는 부야소(@booyaso)의 트윗은 1641건이나 리트윗되었다. 부야소는 3월 23일 기준으로 팔로어 수가 750명으로 파워트위터러가 아님에도, 해당 트윗이 평균 5.49의 팔로어 단계를 침투하여 265만 4986건의 노출을 유발했다. 국내 최다 팔로어를 보유한 이외수(@oisoo) 작가 팔로어 수(129만여 명)의 곱절이 넘는 조회 건 수이다.”(이종대)

April 2, 2012: 12:16 am: bluemosesErudition

Isaiah 58:6-12 NIV

“Is not this the kind of fasting I have chosen: to loose the chains of injustice and untie the cords of the yoke, to set the oppressed free and break every yoke? Is it not to share your food with the hungry and to provide the poor wanderer with shelter— when you see the naked, to clothe them, and not to turn away from your own flesh and blood? Then your light will break forth like the dawn, and your healing will quickly appear; then your righteousness will go before you, and the glory of the Lord will be your rear guard. Then you will call, and the Lord will answer; you will cry for help, and he will say: Here am I. “If you do away with the yoke of oppression, with the pointing finger and malicious talk, and if you spend yourselves in behalf of the hungry and satisfy the needs of the oppressed, then your light will rise in the darkness, and your night will become like the noonday. The Lord will guide you always; he will satisfy your needs in a sun-scorched land and will strengthen your frame. You will be like a well-watered garden, like a spring whose waters never fail. Your people will rebuild the ancient ruins and will raise up the age-old foundations; you will be called Repairer of Broken Walls, Restorer of Streets with Dwellings.”

* “금식은 항상 하나님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하나님이 주도하시는 것이어야 하고 하나님이 정하신 것이어야 한다.”(Richard Foster, 1978[2008]: 104)

April 1, 2012: 2:25 am: bluemosesErudition

“아이패드의 성공 비결은 북 스토어와 고화질 앱에 있다. … PC에서와 마찬가지로 더 이상 속도나 용량이 중요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뉴아이패드가 하드웨어적인 완성도를 완벽하게 달성한 지금이 오히려 애플의 콘텐츠 플랫폼 중심 전략이 빛을 발하는 순간이다.”

: 2:19 am: bluemosesErudition

“The soul never thinks without a picture.” _ Aristotle

: 2:18 am: bluemosesErudition

“1은 강렬함을 줄 때, 2는 비교 또는 대조를 할 때, 3은 완전성 또는 완결성을 나타낼 때, 4부터는 목록을 만들 때 사용한다.”

: 2:01 am: bluemosesErudition

자아의 욕구에 함몰되어 있다. 「어떻게 참된 그리스도인이 될 것인가」”문화는 ‘어떻게 사는가’의 문제이다. 누구도 문화를 벗어나 살지 않을 뿐만 아니라 벗어날 수도 없다. 그러므로 문화를 만들고 소비하는 것은 특별한 재능을 가진 사람들의 몫이 아니라 일상 세계에 살고 있는 모든 사람의 몫이며 누구나 책임지고 참여해야 할 일이다. 그리스도인들은 누구보다도 이런 일에 앞장서야 할 사람들이다. 왜냐하면 문화는 (그리고 윤리는) 그리스도인에게는 ‘취향의 문제’가 아니라 ‘하나님이 주신 명령에 따라 순종하는 삶’을 사는 것이요, 그리스도인은 자기를 위한 삶과 타인을 위한 삶을 분리하는 자가 아니라 ‘타인을 위한 삶을 통해 자신의 삶을 가꾸어가는 사람’이기 때문이다.”(강영안)

: 1:42 am: bluemosesErudition

1. “‘철학’이라는 용어는 일본 메이지 시대의 철학자 니시 아마네가 ‘지혜에 대한 사랑’이라는 뜻의 그리스어 ‘필로소피아(philosophia)’를 일본어로 옮긴 것이다. 비단 이 용어만이 아니기는 하지만, 일본을 통해서 유입된 철학이라는 용어야말로 임화의 ‘이식’ 문학론이 문학에만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입증해준다. 이런 사실은 우리나라에서 철학이 하나의 학문으로 정착되어간 과정을 통해 더욱 잘 증명된다. 3·1운동에 덴 일제는 무단통치를 문화통치로 바꾸고 좀더 효과적인 내선일체를 수행하기 위해 1926년에 경성제국대학을 설립했다.”

2. “박치우는1909년, 함경북도 성진에서 목사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가 경성제국대학 철학과에 입학했던 1928년, 같은 강의실에는 훗날 5·16 쿠데타를 반기고 박정희를 도와 ‘국민교육헌장’을 작성한 박종홍이 있었다. … 두 사람이 대학을 다니던 시절, 유럽과 일본은 물론이고 한국에까지 번졌던 ‘하이데거 유행’에 대한 박치우와 박종홍의 시각은 무척 예시적이다. … 두 사람에게 고루 영향을 끼친 철학자로 호세이 대학 철학과 교수였던 미키 기요시를 꼽는다. 1923년 독일 마르부르크에서 하이데거를 사사한 그는 귀국해서는 마르크스주의 철학을 보급하기 위해 애를 쓴 학자다. ‘마르부르크 시절 이래 내가 경험한 이른바 불안의 철학이나 불안의 문학이 몇해 뒤에는 일본에서도 유행하게 되었다. 그것이 몇년 뒤에 유행하게 된 것은 당연한 일이었다. 그것이 유행하기 위해서는 프랑스나 독일에서처럼 하나의 요소, 즉 마르크시즘의 유행이 앞서야 했기 때문이다. 그것이 순서다.’”

3. “박치우는, 자주 하이데거로 대표되는 불안의 철학을 공박했다. 프랑스 혁명으로 획득된 시민계급이 산업사회가 빚어낸 소외와 위기(공황)의 극복을 시민계급 내부의 모순(빈부)과 경제 기구에서 찾지 않고, 정신이나 내면에서 찾으려는 노력이 바로 불안의 철학이라는 것이다. 박치우는 이들에게 놓인 전망이라고는 슈펭글러와 같은 숙명론의 설파나 파시즘에의 투항밖에 없다면서 나치에 협력한 하이데거를 비판했다. 반면 하이데거로 졸업논문을 쓰기도 했던 박종홍은 나치에 협력했던 하이데거의 오류까지 따라하는 오욕의 길을 갔다.”

* “「존재와 시간」은 당시 마르부르크 대학에 있던 하이데거가 쾰른대학으로 옮겨간 선임자 니콜라이 하르트만의 후임으로 오르디나리우스 프로페소르(정교수)가 되기 위해 급하게 쓴 책인데다가 내용이 전적으로 현존재 분석이므로 중언부언이 많은 책이다.”(소광희, 2003: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