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정의를 바라보는 세 가지 관점의 키워드는 행복 극대화, 자유 존중, 미덕 추구이다. 샌델은 먼저 시장 중심 사회에서 가장 자연스러운 출발점이라는 이유로 ‘행복 극대화’를 주장하는 공리주의자들의 견해를 소개하고, 이어서 정의를 자유와 연관짓는 이론을 살핀다. 자유를 통해서 정의를 이해하는 방식 내에서도 의견은 갈려서 자유방임주의(자유지상주의)와 공평주의가 서로 경쟁하고 있기도 하다. 그리고 끝으로 정의가 미덕과 밀접히 연관된다고 보는 이론을 살펴보는데, 그러한 입장의 원조이자 가장 대표적인 철학자가 아리스토텔레스이다. 그리하여 샌델의 여정은 공리주의에서 시작하여 칸트의 도덕철학과 롤스의 정의론을 거쳐서  아리스토텔레스의 목적론적 정의론으로 마무리된다. 중립적인 소개를 지향하지만, 이러한 여정 자체에 흔히 ‘공동체주의자’로 알려진 샌델 자신의 입장과 의도가 함축돼 있다.”

1. “가령 로마의 원형경기장에서 그리스도인을 사자 우리에 던져놓고 구경꾼들이 환호하며 쾌감을 느낀다면 공리주의자들은 어떤 근거로 그런 행위를 비난할 수 있을까.”  또한 “2001년 독일의 한 남성이 먹힐 의향이 있는 사람을 찾는 광고를 낸 후 자원자 한 사람을 토막 살해하여 일부를 먹어치운 사건이 발생했다. 자유지상주의자는 합의에 의해 이루어진다면 이러한 식인 행위에 대해서 부당하다고 말할 수 있을까.”

2. “칸트에게 도덕은 정언명령에 따른 자유로운 행동만을 가리킨다. 특정한 이익이나 욕구는 도덕의 기초가 될 수 없다는 것이 그의 입장이다. 이를 계승하여 롤스는 기본적인 자유가 모든 시민에게 평등하게 제공되어야 한다는 평등원칙과 소득과 부의 불평등한 분배는 그 이익이 사회경제적으로 가장 어려운 사람들에게 돌아가는 쪽으로 이루어져야한다는 차등원칙을 사회적 정의를 위한 기본원칙으로 제시한다.”

3. “칸트나 롤스는 무엇이 선이고 좋은 삶인지 선택할 여지를 주지 않기 때문에 아리스토텔레스의 목적론을 거부한다. 그리고 그런 관점에서 ‘중립을 지키는 국가’와 ‘자유로운 선택권을 지닌 자아’를 지지한다. 하지만 샌델이 보기에 그렇듯 선택의 자유만 확보하는 것으로는 정의로운 사회를 만들 수 없다. 좋은 삶의 의미를 함께 고민하는 노력이 거기에 덧붙여져야 한다. 도덕을 회피하는 정치보다 도덕에 개입하는 정치를 그가 더 옹호하는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