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주의에서 촉발된 관계 환원론(혹은 결정론)에 대한 반론
0. “State는 본디 상태[특히 신분]를 뜻하는 단어였으나 14세기 신분제 정체(polity of estates) 이후 그 의미가 변모한다. 즉, 통치자의 신분(state) 유지와 [그들이 지배하는] 영토 내 정세(states of affairs)가 밀접한 관계를 맺게 되면서, ‘신분’을 유지하는 것이 곧 ‘국가’의 일(affairs of the state)로 인식된다.”
1. “베버(Max Weber)에 따르면, 국가란 주어진 영토 내에서 물리력의 정당한 사용에 대한 독점을 [성공적으로] 주장할 수 있는 인간 공동체이다.”
2. “기든스(Anthony Giddens)에 따르면, 국민을 국민국가로 통합하는 것은 민족주의라는 정서의 존재가 아니라 정확하게 규정된 영토적 경계에 대한 행정기구의 통일성이다.”
3. “만(Michael Mann)에 따르면, 국가는 하부구조적 권력(infrastructural power)을 행사하여 경제성장과 발전을 위해 재정, 통화, 산업 정책 등의 여러 수단을 동원하고 시민사회 내 세력들을 경제발전이라는 목적에 부합하게 조정한다.”
4. “풀란차스(Nicos Poulantzas)에 따르면, 국가란 계급들과 계급 분파들 사이 세력 관계의 물질적 응축이다.”
1. 일명 ‘사이코패스’로 일컬어지는 반사회적 성격장애는 선천적 성향이나, 그 발현 양상은 후천적 환경에 의해 결정된다. 위반의 쾌락(guilty pleasure)을 조장하는 사회에선, ’타인의 얼굴’을 망각하게 함으로써 정신병질(psycho-pathy)의 표출 욕동을 억제할 양심을 제거한다.
2. 예수의 정신이 깃든 “타인의 얼굴은 나의 자발적인 존재 확립과 무한한 자기 보존의 욕구에 도덕적 한계를 설정한다. 타인은 거주와 노동을 통해 이 세계에서 나와 내 가족의 안전을 추구하는 나의 이기심을 꾸짖고, 타인을 영접하고 환대하는 윤리적 주체로서 나 자신을 세우도록 요구한다.”
3. 그러나 애석하게도 “현행 기독교는 우리에게 기만적인 죄의식을 느끼게 함으로써 ‘불안 없는 쾌락’을 향유할 가능성을 열어준다.” 이것이 바로 만물을 상품화하는 자본과 맘몬의 교회가 결탁하는 방식이다.
‘사실의 부족과 이론의 과다’를 지양하기 위해선, “눈 앞에 펼쳐 보이는 객관적인 데이터를 충실하게 알아야 할 뿐만 아니라, 이것으로부터 추상의 경지에로까지 나아가야 한다.” 그러나 만약 양적 자료를 정리하는 수준에서 머문다면, “인간의 물화(物化)를 학문으로 치장하는” 꼴이 되고 만다.
“군주정, 신정, 독재 정부 이론들은 몇 가지 공통점이 있다. 이들은 모두 통치자가 갖추어야 할 능력이나 덕목이 오직 몇몇 개인들에서만 찾아지며, 대부분의 인간이 정치적으로 무능하다고 상정한다. 또 공동체의 통일이 국가 원수에 의해 창출되고 상징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국가는 인간 유기체처럼 구성원의 행동을 통제하고 지시할 머리를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정부 개념들은 대체로 국가는 자유나 개인적 행복이 아니라 덕이나 질서를 그 목표로 해야 한다는 신념과 밀접히 연관되어 있다.”
“막스 베버는 권위를 전통적, 카리스마적, 합리적, 법적 형태로 구분하였다. 이 구분은 오늘날 사회학/정치학에서 표준적으로 사용된다. 베버의 기여는 이러한 구분 외에도 카리스마적 권위 개념을 제시한 데 있다. 경제학자이자 사회학자이지만 일차적으로는 ‘종교 사회학자’인 베버는 종교운동이 등장한 배경을 연구하는 가운데 카리스마적 지도자를 발견하였다. 전통적 의미의 혈통이나 세습에 의거하지 않고, 폭발적 대중의 지지를 업고 등장하는 지도자로서, 기존의 합리적 법률 체계를 무시하고 새로운 질서를 세운다. 대표적인 인물로는 예수와 히틀러를 꼽을 수 있다.”
* Ian Kershaw의 “The Hitler Myth”는 리더십 ‘특성론’에 대한 ‘상황론’적 반박이다[참고 : LMX].
“헤겔은 ‘정신현상학’을 통하여 무지한 놈[추상적 보편성]이 등장하여 모든 일을 편력durchgehen하면서 상술Ausfuehrung함으로써 진리[구체적 보편성]를 획득할 수 있다는 네 번째 진리 표현 방식을 제시하였다. 이는 서술과 진리의 내용이 다르지 않다고 하는 오래되었지만 평범한 진실을 보여준다. 서양철학이 레토릭이라는 넓은 영역과 떨어져서 전개되지 않은 까닭에 이와 같은 진리 표현의 방식을 늘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
간디는 이렇게 말했다. “직접행동이라는 표현 없이는 비폭력은 무의미합니다. 직접행동은 세상에서 가장 위대한 가장 행동적인 힘입니다. 사람은 소극적으로는 비폭력적일 수 없습니다.” 자조적 눈물로는 세상의 슬픔을 이겨낼 수 없다.
허겁지겁 탐독해도 ‘영원한 어린아이’에 머물렀던 이유를 깨달았다. “달인의 길이란 무엇인가? 달인의 길은 연습이라는 것, 이것이 핵심이다. 달인의 길은, 길 위에 머물러 있는 것이다(참고).”
* Be simple, and more simple. Less is more. Simple is different from monotonous.
The History of the Pelophonesian war
“<<펠로폰네소스 전쟁사>>는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번째는 총론으로서 (1:1)에서 (1:23)까지이다. 두번째는 일명 페리클레스 전쟁이라고 불리는, 펠로폰네소스 전쟁 전반기의 10년 전쟁으로서 (2:33)부터 (5:24)까지이다. 세번째는 펠로폰네소스 전쟁의 후반기의 17년 전쟁으로서 (5:25)부터 마지막까지이다. 세 부분 중에서 첫번째인 총론은 책 전체의 내용을 요약하고 있다. 그러므로 총론은 세심하게 읽을 필요가 있다.”
“전쟁 이전의 헬라스 세계는 토지가 척박하고 사회가 안정되지 못하다가 트로이 전쟁을 계기로 교류를 가지게 되었다. 페르시아 전쟁을 통하여 한층 강화된 헬라스 인의 갈등은 아테네인과 라케다이몬인으로 갈라져 서로 물고 물리는 전투를 하다가 급기야 참혹한 전쟁을 하게 되었다. 투키디데스는 이 전쟁을 지켜보면서 전쟁이 일어난 배경과 직접적인 원인, 근본적인 원인을 가능한 사실 그대로 서술하려고 노력하였다.”
“연설에 관해서 말하자면 … 연설은 될 수 있는 한 실제로 발언된 연설의 주요 요지(general sense of what they really said)에 가깝도록 애써, 연설자가 각각의 놓여진 환경에 관해 매우 적절한 발언을 하고 있다고 생각되도록 서술하였다.”(1:21) “개개의 사실에 대해 있는 그대로 내가 할 수 있는 한 탐구한 결과에 바탕을 두고 쓰는 것을 첫째로 삼았다. 그러나 이것은 힘들고 어려운 일(cost me some labour)이었다.”(1:22)
* 일급 전쟁사가들이 2,500년전 아테네에서 생성된 텍스트에 특별한 관심을 나타내는 이유는, 그것이 역사(Geschichte) 서술의 전범이기 때문이다.
“파시즘은 대중 동원만이 전부가 아니다. 1) 프롤레타리아트와 부르주아지의 헤게모니가 지극히 균형상태를 이루고 2) 이를 반영하는 정치적 지형이 있는 상태에서 3) 대중 동원이 이루어질 때 파시즘으로 규정할 수 있다. 3) 만을 이야기하는 것은 문화주의일 뿐이다.”
* “물질적 토대에 관한 분석을 결여한, 정치적 지형에 관한 정리도 결여한, 대중의 행태에 관한 발췌에만 근거한, 변(형)태적 ‘문화적 파시즘론’으로 판단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