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기획재정부는 고환율 정책을 통해 ‘수출촉진→기업 수익증대→투자 활성화→경기회복→일자리 창출’로 이어지는 성장의 선순환을 기대했었다. 그러나 실제로는 ‘고환율→물가상승→소득감소→소비위축→성장률 저하’로 흘러가는 악순환 효과가 점차 뚜렷해지고 있다. … 고환율 정책은 수출촉진이라는 ‘빛’과 물가자극이라는 ‘그림자’의 두 얼굴을 지니고 있다. … 고환율 정책의 또 다른 문제점은 수출 대기업들에겐 고수익을 안겨주는 반면 서민층의 생활고를 가중시켜 ‘양극화’ 현상을 심화시킨다는 점이다. … 한국씨티은행 오석태 이코노미스트는 고환율 정책은 화물트럭 기사들(서민층)의 소득을 삼성전자 등 수출 대기업으로 이전하는 결과를 낳는다면서 정부가 고환율 정책을 포기했던 2005년 이후 내수가 되살아났던 경험을 반추해 볼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조선일보, 2008. 6. 2) 

2. “<한국경제보고서>에서 … 권영선 노무라증권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현재 한국의 통화정책 환경은 여러 면에서 1980년대 후반 버블 형성기의 일본과 놀라울 정도로 유사하다며 그 공통점으로 △중앙은행의 저금리 장기화 △주요국 정책공조 강조 △환율절상 억제 등을 꼽았다. 권 이코노미스트는 일본 경제도 플라자합의와 금융위기라는 대형 외부충격 이후 빠른 경기 회복을 보였다는 점을 지적했다. … 그는 ‘1980년대 후반 일본의 버블로부터 얻을 수 있는 교훈은 소비자물가상승률이 낮더라도 지속 가능한 물가안정을 위협하는 요인들이 커질 때에는 신속히 금리를 인상해야 한다’는 것이라며 견해를 갈음했다.(프레시안, 2010. 4. 12)

* 저금리, 고환율을 고수하며 1970년대 방식으로 2010년대를 작파하는 무능한 탐관오리의 전형 : 강만수, 최중경, 김중수. 2008년말 금융위기 당시 890까지 추락한 증시가 2011년초 2070을 상회한 것은 ‘공황’을 예측케 하는 전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