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48년 전-후에 촉발된 신[혹은 절대자]에 대한 회의는 종교에서 정치로, 교황에서 국왕으로의 중심 이동을 초래하여 ‘근대 국가’의 탄생을 견인한다. 제3의 신분과 결탁한 근대 국가는 합법적으로 독점한 폭력을 기반으로 이윤 추구에 적합한 정치-경제적 토대를 형성하는데, 그 결과 이전 사회에 배태된 인격적 관계는 ‘자유’와 ‘과학’ 그리고 ‘혁명’이라는 미명 하에 “계산 가능한” 물질적 관계로 치환된다. 따라서 ‘30년 전쟁’ 이전까지 진리의 토대였던 신적 로고스는 인간의 생존으로 대체되고, 공리주의(utilitarianism)가 전면에 등장함으로써, 기존의 “반도덕”은 점차 “비도덕”으로 전환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