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뉴스 소비 자체가 급격히 줄어들었다. 언론사들 선정성 경쟁도 문제지만 애초에 원 뎁스(depth)를 더 들어가는 시스템 자체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뉴스스탠드 개편 이후 이용자의 11%가 아예 뉴스를 읽지 않게 됐다는 통계도 나왔다.
A. “뉴스캐스트로 돌아갈 수 없다는 입장은 변함이 없다. 여러 가지 검토를 하고 있지만 뉴스캐스트와 뉴스스탠드 이외의 다른 뾰족한 대안이 없는 상태다.”

Q. 알고리즘 방식의 뉴스 편집이 대안이라는 지적도 나왔다. 이를 테면 300명 정도 뉴스추천위원회를 두고 트위터와 페이스북 등 소셜 추천, 그리고 댓글 반응 등을 결합해 뉴스의 경중을 구분하고 자동으로 배치하는 방식을 검토해 볼 수도 있다. 뉴스캐스트 시절처럼 10개 정도 뉴스 판을 두고 랜덤 롤링하면 이슈의 편중 현상도 막을 수 있고 뉴스 다양성도 보장할 수 있다.
A. “그렇게 되면 이용자들의 적극적인 뉴스 선택이라는 뉴스스탠드 원칙을 포기하게 된다. 네이버가 일방적으로 뉴스를 보여주는 그런 시스템으로 가기를 바라나.”

Q. 네이버가 던져주라는 이야기가 아니다. 네이버가 국내 최대의 포털 사이트인만큼 사회적 책임을 고민해야 한다는 이야기다. 네이버 첫 화면의 어젠더 셋팅과 관련, 사회적인 합의가 필요하다는 이야기다. 뉴스스탠드를 시작하면서 기대했던 선의가 작동하지 않는 상황이다. 선의가 아니라 집단지성에 기대해보자는 이야기다.
A. “위험 부담이 너무 크다. 알고리즘 편집을 생각해 보지 않은 것은 아니지만 어뷰징을 막을 방법이 없고 언론사들 반발도 심할 거고 무엇보다도 공정성 시비가 끊이지 않을 것이다.”

Q. 그래서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는 거다. 충분한 시간을 두고 논의를 시작해 보자는 거다.
A. “논의를 시작하는 건 좋지만 지금으로서는 언론사들의 자정 노력에 기대를 걸어보는 수밖에 없다. 우리는 뉴스캐스트 시절보다는 선정성 경쟁이 많이 완화됐다고 보고 있다. 지금보다 훨씬 문제가 많았던 뉴스캐스트 시절에는 아무런 비판도 하지 않던 언론사들이 뉴스스탠드 개편 이후 트래픽이 급감하니까 네이버에 집중 포화를 퍼붓고 있다. 이 시스템이 자리를 잡느냐 마느냐는 언론사들에 달려있다. 뉴스스탠드가 실패하면 더 이상 갈 곳이 없다, 이게 네이버 공식 입장이다.

Q. 이미 실패한 시스템이라는 평가가 많은데 아직 기대가 남아있다, 그렇게 봐도 되나.
A. “공유지의 비극이라는 게 있다. 모두가 자기 생각만 하면 얼마 지나지 않아 아무도 소에게 풀을 뜯길 수 없게 된다. 지금 뉴스스탠드가 그 꼴이다. 노벨경제학상을 받은 엘리너 오스트롬은 공유지의 비극을 극복하려면 시장 메커니즘이나 정부 개입이 아닌, 공동체 중심의 자치제도와 협력 체계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아직 뉴스스탠드를 포기하기에는 이르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