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여기서 세간에서 제기된 의혹 외에 김 후보자와 같은 교육학 교수로서 느끼는 교육학계의 문제를 엄중하게 짚고자 한다. 그가 교육부 장관 후보에 지명된 근거가 무엇일까를 곰곰이 따져본다. 그는 장관 후보자로서 신뢰를 보낼 만큼의 이렇다 할 학문적 지명도나 사회경험, 행정경력을 갖춘 것 같지 않다. 다만 한 가지 눈에 띄는 것은 그가 현직의 한국교육학회장이라는 사실인데, 이것이 후보로 지명되는 데 중요한 배경이 되었을 것이다. 모든 교육 관련 연구학회를 총괄하는 모학회인 한국교육학회의 회장이라는 직함은 그 자체로 교육계 최고의 학문적 권위를 드러낸다. 외부에서 이런 기대와 평가를 할 것임은 당연하고, 실질이 그러해야 한다. 그런데 김명수 후보자의 경우 학문적 지명도나 세간의 의혹 등을 전체적으로 고려할 때 학회장에 적합한 인물이었는가에 대한 의문부터 생긴다. 그가 어떻게 한국교육학회장이 되었고, 나아가 장관 후보자까지 오르게 되었을까.”

“이번 개각 인사 이후 일부 신문(경향신문 6월16일자와 조선일보 6월17일자)에서 중요하게 다룬 문제 중의 하나가 서울대 사대(교육학과) 마피아에 관한 것이었다. 현재 거론되는 장관 및 교육수석 후보자가 입각한다면 교육 관련 5대 권력기관장이 모두 서울대 교육학과 출신이 되는 상황에 의문을 품고, 그 배경으로서 그 학과의 마피아적 권력 접근 행태를 비판한 것이다. 기실 이들은 유사한 예를 찾아보기 어려울 정도의 끈끈한 동문 의식을 가지고 선후배가 이어가면서 권력기관을 잠식한 역사를 가지고 있다. 대표적인 국책교육연구기관인 한국교육개발원의 원장직은 마치 학과 부설 연구소장 자리마냥 이들 동문이 승계해 가는 것으로 유명하다. 그런데 이들이 권력기관에 접근하는 데 가장 든든한 발판으로 삼는 것이 한국교육학회장이라는 직이다. 한국교육학회의 역사는, 학회장을 지낸 서울대 교육학과 인맥들이 대거 장관급으로 입각해 간 사실을 잘 보여준다. 이에 이들에게 권력으로 가는 디딤돌로서의 한국교육학회장이라는 직은 결코 양보할 수 없는 자리가 된 것 같다. 수십년간 한국교육학회장직은 마치 서울대 교육학과 동문회장 자리인 듯 그 동문이 아니면 거의 접근할 수 없게 되었다. 몇 대에 걸친 전전직, 전직, 현직은 물론이고 차기직 회장도 그 동문으로 이미 세워져 있다. 차차기 회장 피선이 유력한, 10여명의 부회장 명단도 동문회 명부 수준이다.”

_ 연세대 교육학과 교수 황금중(경향신문, 2014. 7.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