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잉글랜드의 화학자 로버트 보일(Robert Boyle, 1627-1691)을 위시한 한 무리의 학자들이 런던 왕립학회를 설립하고 실험과학의 관례와 가치를 전파해 나가기 시작할 때, 그러한 움직임에 분연히 제동을 건 철학자가 있었다.” “이 논쟁을 승리자인 현대과학의 눈으로 바라본다면, 홉스(Thomas Hobbes, 1588-1679)의 반발은 과학에 무지한 한 정치철학자의 월권 행위로 비칠 수 있다.”

2. “실험 공동체의 규칙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었다. 무엇이 적합한 토론의 대상인가? 그리고 그러한 토론을 벌이는 이들은 어떤 예의를 갖춰야 하는가?” “그들의 토론은 오직 자연에 관한 것에 국한되어야 했다. 그러나 자연의 문제에 대해서도 오직 직접 목격이나 신뢰할 만한 직접 목격자들의 증언을 바탕으로 한 ‘사실적’ 지식만이 수용의 대상이었다. 예컨대 공기펌프에서 공기를 빼낼 때 그 내부의 촛불이 꺼진다는 보고가 신뢰할 만한 것으로 밝혀진다면, 그 현상 자체는 사실로서 실험 공동체에 수용돼야 했다. 물론 왜 그러한 현상이 벌어지는가를 두고 가설을 세울 수도 있었다. 그러나 원인에 대한 지식을 추구한다는 빌미로 각종 형이상학적 가설을 제기하며 격한 논쟁을 벌이는 일은 실험 공동체의 예의 규범을 벗어나는 행태로서 결코 용납될 수 없었다.” “실험실은 억압적인 절대주의적 전제정과 파편적인 개체주의적 민주정의 양 극단 사이에서, 관용과 토론을 통해 사실적 지식을 증진하는 평화롭고 개방된 실험 공동체의 상징적 공간이었다. 그리고 그러한 실험 공동체는 왕정복고기 잉글랜드 사회가 바라던 이상적 정치체의 모범으로 선전되었다.”

3. “홉스가 보기에 정치를 배제한다는 실험철학자들의 대안은 한낱 불확실한 믿음과 목격에 바탕을 둔 불가능하고 위험천만한 프로젝트였다. 홉스에게 진정한 철학이란 자연철학과 사회철학을 분리하지 않고 일관되게 설명할 수 있는 일원적인 인과적 지식으로서, 기하학처험 절대적인 확실성과 필연성을 갖추고 있었다.” “홉스가 내세운 진정한 철학 내에 이견의 여지란 없었다. ‘철학 내에 이견이 있다’는 것은 홉스에게는 진정한 철학이 아니라는 징후였다. 이견이 있다는 것은 또 다시 정치적 분란으로 이어질 파당과 분파로 사회가 쪼개진다는 것을 의미했다.” “개별적 사실만을 집적하는 보일의 실험철학은 보편적이고 필연적인 지식도, 사실의 원인을 알려 주는 인과적 지식의 원천도 아니었다. 실험은 현상에서 원인을 추정해야 하는 활동인 만큼 자연의 실제 작용에 관해 그저 개연적인 이해만을 제공할 수 있을 뿐이었다.” “홉스는 보일이 실험 현상에 대해 어떤 해석을 내놓더라도 그 못지 않게 타당한 여러 해석을 만들어 낼 수 있다고 호언했다. 홉스에 따르면, 진공을 만들어냈다는 보일의 공기펌프에서 진정한 진공이 만들어진 적은 없었다. 공기펌프는 공기가 누입되는 등 여러모로 불완전했다.”

4. “홉스와 보일의 논쟁은 결국 보일의 승리로 귀결되었다. 사견이 판치는 극단적 개인주의의 폐해뿐만 아니라 압제적인 일원적 전제주의의 혈흔도 여전히 생생한 왕정복고기의 잉글랜드 사회는 홉스식의 절대주의적 리바이어던을 받아들일 수 없었다.”

5. “보일은 과학적 지식이 정치와 무관한 객관적 지식임을 주장하며 정치를 과학 외부로 내쫓았으나, 이후 과학은 바로 정치 외부에 위치한다는 생각으로 인해 그 어떤 지식보다도 강력한 정치적 영향력을 발휘”하였다. “더욱이 과학이 공공에게 열려 있다는 주장에도 불구하고 과학의 공간은 현실적으로 접근이 통제되고 있으며, 그 공간 내부의 ‘정치’는 외부인들에게 좀처럼 알려지지” 않았다. “[왕립학회의 역사]에서 스프랫이 밝힌 바에 의하면 학회는 종교, 국가, 직종을 불문하고 모든 이에게 그 문을 열어 두었다고 했으나, 당시 상인이나 무역상이 차지한 비율은 4퍼센트 정도밖에 되지 않았으며, 회원의 대부분은 신사계층이거나 귀족계층이었다. 실험주의자들에게 신뢰할 만한 이들이란 이들 상류계층의 인사들이었던 것이다.”

* Steven Shapin and Simon Schaffer, [Leviathan and the Air-pump: Hobbes, Boyle, and the Experimental Lif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1[19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