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년 8월, 정부는 2008 대입 개선안 시안을 발표하였다. 그리고 당시 안병영 교육인적자원부 장관은 여론 수렴 과정을 거쳐 10월 28일에 2008 대입 개선 확정안을 발표하였다. 이 방안은 크게 세 가지 내용들 담고 있는데 ‘학생부 반영 비중 확대, 수능시험 개선, 학생선발의 특성화·전문화 강화’가 그것이다. 학생부 반영 비중 확대를 위해 ‘수·우·미·양·가’ 표기방법을 ‘원점수표기제(과목 평균 및 표준편차 병기)’로 변경하여 성적 부풀리기를 방지하고, 9등급의 과목별 ‘석차등급제’를 도입하여 동석차가 많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지나친 석차경쟁을 완화하도록 하였다. 당국에서는 「원점수+석차등급제」 도입으로 학교생활기록부의 신뢰도가 제고되어 대입전형에서 학생부의 실질 반영비중이 현재보다 높아질 것으로 기대했었다. 교과영역뿐 아니라 비교과영역(봉사활동, 특별활동, 독서활동 등)도 충실히 기록하여 대입전형의 주요 전형자료로 활용되도록 하였다. 수능은 9등급으로 구분된 등급만 제공하여 점수 경쟁 완화를 유도하였다. 수능의 영향력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이었다. 그리고 학생 선발의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해 ‘입학사정관제’를 도입하기로 하였다. “대학·모집단위별 특성에 부합하는 전형모형을 개발하도록 유도하고, 대입전형의 전문화 체제를 강화하기 위하여” ‘입학사정관제’를 도입하기로 한 것이다. (중략) 2004년 10월에 2008년 대입개선안이 발표되고 2005학년도에 2008 대입에 해당하는 학생들이 고등학교에 입학하였다. 그리고 이 2005년에는 2008 대입 제도가 구체화되는 시점에 이르렀다. 그런데 학생들은 새로운 대입제도에 대하여 크게 반발했다. 선배들은 수능 준비 위주로 공부하면 대학에 진학할 수 있었는데, 2008 대입부터 내신은 강화되고, 수능은 등급만 제공하니 대학에서는 논술고사를 확대하겠다고 하고 있으며, 학생 입장에서는 수능 역시 무시할 수 없으므로 입시 준비는 ‘죽음의 트라이앵글’이라고 하였다. … 학생부 중심 전형이 자리잡지 못한 이유는 2008 대입 개선안이 학생부 중심 전형을 강조했음에도 불구하고, 대학입시에서는 논술 전형 확대라는 메시지를 수요자에게 주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2009 대입부터는 다시 수능에서 등급 이외에도 표준점수와 백분위 점수를 제공하여 수능 100% 선발이 대세였기 때문이다. 이렇게 보면 수험생은 수능과 논술로 승부를 걸 수 있었으므로 입학사정관 전형은 이를 준비하는 학생들에게만 해당되는 것으로 치부해도 될 요소에 불과한 것이었다.”

“입학사정관 전형이 본격적으로 확대된 것은 2010학년도 대입부터다. 2009학년도 대입에서는 16개 대학의 일부 전형에서 입학사정관 전형이 실시되었다. 학생부 종합전형이 본격적으로 실시된 것은 이명박 정부에 들어 2009년에 40여개 대학에 236억원의 지원금을 제공하고 이 전형을 장려한 때부터이다. 입학사정관 전형은 2015학년도 대입전형부터 학생부 종합 전형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중략) 학생부 종합 전형이 지금과 같은 면모를 갖추고 학생을 선발하는 방식이 정착된 것은 2014학년도 수시 모집이 최초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만큼 역사가 짧다. 그리고 학교는 2011학년도부터 바뀌기 시작했고, 이제야 졸업하는 학생들이 학교생활 가운데서 학생부 종합 전형을 준비할 수 있게 되었다. 2011학년도 고등학교 신입생부터 입학할 때부터 외부상, 인증, 교외체험학습이 의미 없어진 학교생활을 하기 시작했다. 수상경력은 교과부 훈령 158호(2010.1.22.)에서는 학교내 선발을 거쳐 학교장의 추천을 통하여 참가한 대회, 교과부 및 시·도 교육청(지역교육청)의 기관장 이상의 상을 수상한 경우 입력할 수 있었다. 학생들은 이 해에도 교육청 주최 논술·토론 대회 등에 참가하기 위한 경쟁이 심했었다. 훈령 187호(2010.7.29.)에서는 수상경력 기록을 교내상만을 제한하고 자격증 및 인증 취득 상황도 기술 관련 자격증에 한해 입력할 수 있게 하였다. … 훈령 205호(2011.2.24.)에서는 교외 체험 학습을 기재할 수 없게 되었다. 이에 따라 2011학년도 고교 입학생부터는 외부 경시대회, 외부 체험학습, 인증 시험 등이 의미가 없어지고 학교 교육활동 중심으로 학생부가 기재되기 시작했다. 이들이 대학에 지원한 것은 2014학년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