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M. S. C.: 대상 X에 관한 Multi-dimensional, Structural, Creative Thinking

1. “사물의 외양과 본질이 직접적으로 일치한다면 과학은 모두 불필요할 것이다.”(Marx, K.) “정통 마르크스주의는 마르크스의 연구결과를 무비판적으로 인정하는 것을 뜻하지 않으며, 이러저런 주장에 대한 ‘믿음’이나 어떤 ‘신성한’ 책의 해석을 뜻하지도 않는다. 마르크스주의적 문제에서의 정통성이란 오로지 방법에만 관련된다.”(Lukács, G.) 그렇다면 복잡한 현실을 어떻게 파악할 것인가?

2. Roy Bhaskar에 따르면, 존재는 다층적이다. 진리 혹은 진실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외양에서 본질을 향해 육박해 들어간 뒤, 다시 본질에서 현상으로 귀환하는 [즉자대자적] 현상학적 해석학 내지 변증법적 역사 유물론이 요청된다. <자본론>의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3-1. 1차원에서 4차원으로 사유에 대한 사유: f(x) > f(f(x)) > f(f(f(x))) > f(f(f(f(x)))). 자본주의 사회의 인간 소외 > 자본의 생성, 유통, 축적 > 화폐 교환 > 상품 거래.

3-2. 4차원에서 1차원으로 구조적 사유 전개: f(f(f(f(x)))) > f(f(f(x))) > f(f(x)) > f(x). 상품 거래 > 화폐 교환 > 자본의 생성, 유통, 축적 > 자본주의 사회의 인간 소외.

4. 연구가 ‘탐구’와 ‘해설’로 구성된다면, 탐구는 [3-1의] 고차원으로 추상화되며, 그것의 결과를 제시하는 해설은 [3-2의] 저차원으로 구체화된다.

5. 이상의 논의를 확장하면, 우리의 사유를 Habitus(혹은 Desire) > Illusio > Agencement > Paradigm 순으로 층화할 수 있다. 1차원이 습속에 종속된 반응이라면, 2차원은 습속을 당연시하는 상식에 대한 질의이고, 3차원은 상식을 구성하는 체제의 고찰이며, 4차원은 당대의 역사적 조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