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동아시아의 교육의 목적은 국가번영과 개인의 사회이동에 있었다.” “교육의 공공성이 국가에 의해 관리되고, 국가주의의 멸사봉공과 이기주의의 멸공봉사이 공생관계를 통해 압축 근대화를 달성한 동아시아 국가들의 학교에서 한 사람 한 사람의 아동과 교사와 학부모의 다양한 개성과 공통성을 기반으로 공공성과 민주주의를 뿌리내리는 일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 ‘배움의 공동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개개의 학교가 처한 사회적, 문화적 환경을 감안해서 창조적으로 개혁의 일상적인 실천이 이뤄져야 한다.” 그러나 “오히려 매스미디어의 여론 조작을 통해서 보다 부드럽고 보다 교묘하게 전체주의적인 개혁이 단행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佐藤 學, 1999[2009])
2. “사토 마나부는 교육을 기능적 관점에서 파악한다. ‘배움 - 이는 평생학습이라는 말로 바꾸어도 무방할 것이다 - 을 정착시키자, 그러면 청년실업이 줄어든다’고 말한다. 그는 신자유주의적 교육정책을 비판하고 있기는 하나 결국에는 포스트-산업주의적 자본주의에 기여하는 인간배출 교육 모형을 내놓고 있다. 김성열에 따르면 자본제 하에서의 교육제도는 ‘정당한 차이’를 만들기 위한 기제이다. 이 점을 간과한 채 이루어지는 교육에 관한 논의는 순진한 것이거나 그것을 애써 외면한 것이다. 한국의 모든 대학에 프랑스의 그것처럼 번호를 붙이자는, 법과 제도를 통한 보완을 주장하는 몇몇 ‘개량적 지식인들’의 해법이 이에 해당한다. ‘전 사회를 학교화하는’ 평생학습이라해도 그것의 실상은 사회 곳곳에서 자본주의의 작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교육을 수행하겠다는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는 것이다. 공부에서 배움으로 가는 것을 나무랄 일은 없다. 그러나 공부가 산업 자본주의에서 나름대로 기능하였듯이, 배움 역시 고도화된 자본주의에서 나름대로의 역할을 하게 되리라는 것을 따져보아야 한다. 이런 점에서 김성열은 ‘교육은 구조의 통제와 행위의 자유라는 이율배반적 상황을 정당화하는 매개체’라는 규정을 제시한다. 이 규정은 현대 자본주의 체제에서의 교육을 그 기능의 측면에서 파악한 것이며, 이것이 애초의 내 의문에 대해 어느 정도 답을 제시한다. 나에게 남은 과제는 이러한 부정적 의미의 교육을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다시 말해서 긍정적 의미의 교육 개념을 정립하는 일이다.”
3. 교육은 자발적 학습을 통제하는 메커니즘으로서, 그것의 역할은 기대되는 변화를 유발하는 계획된 학습활동의 조직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