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띤 계몽의 시대는 3.1 운동의 실패와 더불어 끝난다. 일부는 만주로, 상해로 갔고 일부는 남아 문학과 예술의 나라로 도피했다. 유학생들의 비분강개와 체념의 현장 위로 소세키의 독백이 불길하게 드리운다. “어차피 도련님은 못 이겨. 시대라는 것에 질 수밖에.” (<도련님의 시대>, 1권 224쪽)

“<도련님의 시대>의 배경은 1905년 러일 전쟁 직후에서 1910년 한일 병합 직후까지다. 일본은 총력전을 펼쳐 전쟁에 승리했으나 얻은 것은 거의 없었고, 오히려 막대한 부채와 끝없는 인플레이션이 남았다. 일본을 이끌었던 국가와 개인의 일체감은 무너졌으나, 일본은 동요하는 개인들을 제압하면서 군국주의적 확대를 계속하고 있었다.”

“이야기들을 관통하는 것은 국가의 발전을 개인의 발전으로 믿었던 시대가 끝나고, 전방위적으로 압박해 오는 군국주의에 절망적인 무기력에 빠져 있었던 청년들의 자기 고민이다. … 자유로운 개인으로서 자기를 완성하는 일은 제국주의 열강이 세계를 재편하는 상황 속에서는, 그리고 일본이 군국주의의 길을 가는 한에서는 불가능했다. 그러나 이 모든 것을 버리고 전근대적인 세계로 되돌아갈 수는 없었다.”

“메이지 말의 근대는 얼굴과 형태를 바꿔 우리에게도 도래해 있다. 우리는 그들의 고뇌 속에 우리의 고뇌를 비추어 본다. 그러나 메이지 시대의 도련님들은 우리에게 그 어떠한 해법도 알려주지는 못한다. 그것은 우리와 그들의 시대가 다르기 때문이며 우리는 이 시대의 개인으로서 자기의 시대와 마주해야 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