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하르트만(1882~1950)과 달리 딜타이(1833~1911)가 ‘새로운 철학자’로 다가왔던 이유는 새로운 방법론 때문이었구나! 하는 생각이 이제야.” “그 방법론이 뭔가?” 체험 내용을 기술함으로써 정신적 삶에서 표현된 구조적 관계를 파고 들어가 재내면화하는 작업으로 알고 있습니다.” “재내면화!”

2. ”재내면화”란 무엇인가? 그리고 그것을 통해 얻는 학적 (혹은 인식론적) 성취는 무엇인가? “재내면화(딜타이에서의 이해 개념)는 외면화된 표현에서 체험 내용으로 되돌아가는 역추리”를 의미하고, 그것의 학적 의의는 “경험론자들과는 달리, 직관 이외의 유동적인 요소(태도 같은 것)까지 고려하여 인식과정을 좀더 종합적이고 생동적으로 설명”한다는 데 있다.

3. “딜타이의 문제 상황은 결코 무심코 보아 넘길 성질의 것이 아니다. 딜타이는 생철학이라고 하는 시대적 조류에 직면해 있었다. … 독일 관념론 시대의 끝물에서 생철학의 강한 공격에 맞서 그것에 대한 변호를 했던 사람이다. 여기서 딜타이의 글(<역사적 이성 비판에의 초고Entwürfe zur Kritik der historischen Vernunft>) 하나를 인용하자. ‘생의 현실성에 속박되고 규정된 인간은 예술을 통해서 뿐만 아니라 역사적인 것의 이해를 통해서 해방된다.’”

4. “추체험追體驗과 가장 연관된 개념은 이해Verstehen이다. 딜타이의 해석학Hermeneutik 저작에 … ‘우리는 파악함에 있어 모든 마음의 힘을 함께 작동시키고 그 마음의 힘을 대상 속으로 몰입시킴으로써 이해한다’는 말이 있다.’ 그러나 ‘체험을 즉물적으로 이해한 입장은 生심리주의이다. 이는 그 기원이 무엇이든 간에 한 마디로 욕망으로 귀착된다. 生심리주의에서 시작한 딜타이는 객관적 정신주의로[까지] 전환해 간다. 객관적 정신주의로 [나아]갔을 때 우리는 그것을 진정한 추체험이라고 말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