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공간관계에서 시작한다. … 공간관계의 물질성과 그 사회적 결과의 문제를 분석의 제1선에 두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사람들은 서로를 어떻게 관찰했고, 자신 및 다른 사람들을 서로에게 어떻게 표현했는가? 그들은 파리 사회의 등고선을 어떻게 그렸으며, 그들의 사회적, 공간적 위치와 당시 진행되고 있던 급격한 변형을 어떻게 이해했는가? 또 이러한 표현이 정치적 논쟁의 수사법에서는 어떻게 바뀌어 표현되고 사용되고 형성되었는가? 이러한 것들은 제기하기는 쉽고 중요하지만 대답하기는 까다로운 문제들이다.”

“1850년의 이 도시는 서로 상승작용을 일으키는 이중의 질곡에 갇힌 것 같았다. … 자본주의를 개혁하던가, 아니면 혁명을 통해 그것을 전복하던가, 두 선택지 중의 하나가 1848년에 모든 사람을 빤히 바라보고 있었다.”

“오스망의 작업과 파리의 토지, 부동산 시장의 변형은 전통적인 공동체 개념을 뒤흔들어 그 사회공간적 구조를 뒤엎었고, 금융구조와 노동과정의 변형 역시 그에 못지않게 계급관계의 물질적 기저에 충격을 주었다. 파리 코뮌 – 자본주의 역사상 계급에 근거하는 최대의 공동체적 봉기 – 을 만들어낸 극히 예외적인 힘의 연대를 충분히 평가하려면 그러한 혼란상[노동자들에게 있어 산다는 것은 죽지 않는다는 것이다]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코뮌은 계급의 생존이 걸려 있는, 또한 그렇기 때문에 계급 지배의 존립이 걸려 있는 경제적 기반을 뒤엎는 지렛대로 작용하게 된다.”

코뮌은 그 자체로서 드라마틱한 변형의 절정기에 달해 있던 자본주의 세계라는 특정한 공간 속에 구성된 특정한 계급 배치도 내에서 권력과 사회관계를 변모시키기 위한 한 가지 모색 방안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사크레쾨르의 구조물을 보는 방문객들은 그곳에 무엇이 묻혀 있는지 궁금해 하게 된다. 1789년의 정신인가? 프랑스의 죄악이 묻혀있는가? 비타협적 가톨릭주의와 반동적 군주제의 동맹인가? 르콩트와 클레망 토마 같은 순교자의 피? 아니면 외젠 발랭과, 그와 함께 무자비하게 도살된 2만 명 이상의 코뮌 가담자들의 피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