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랫한 조직의 한계는 이러하다. 직급이 같을 때 중책을 맡은 사람은 명령이 아닌 부탁을 해야 한다. 약자가 된다. … 그리고 결국 업무 수납함으로 전락한다.
플랫한 조직의 한계는 이러하다. 직급이 같을 때 중책을 맡은 사람은 명령이 아닌 부탁을 해야 한다. 약자가 된다. … 그리고 결국 업무 수납함으로 전락한다.
Night Driving: Notes from a Prodigal Soul
채드 버드, <어느 방탕한 사역자의 노트>, 그리심, 2019.
36. 후회하는 의식들에는 “나”만이 사방에 퍼져 있다. 나는 이것을 하리라, 저것을 하리라, 나는 다시 괜찮아지리라. 이러한 예배의식은 예배하는 자와 예배 받는 자가 모두 동일하다. 바로 자기 자신(ego)이다.
38~39. 나는 꾸준히 자기창조 상태로 삶을 살았다. … 내 마음 속에는 애써 이루고자 하는 한 형상이 있었다.
43. 나는 나의 자기창조에 무관심해져 갔다. 이것이 우리를 무로 만드는 죽음이다. 우리가 자기창조에 들인 모든 수고가 없어지면서, 하니님은 이제 무가 되어버린 우리로부터 창조하시는 그의 일을 계속 해 나가실 수 있다.
80. 하나님 아버지의 용서는 우리가 적절하고 성실한 회개를 입증하기를 기다리지 않는다. … 그리스도의 용서는 우리의 회개보다 선행하며, 회개를 끌어낸다.
98~99. [우리 아버지께서는] 자아로 넘치는 망쳐 놓은 이야기를 가지고 가서 그것을 예수로 채우신다. “내 아들은 이제 현재의 너애. 예수는 너의 이야기이고, 너의 정체고, 너의 모든 거야”라고 말씀하신다. … 그는 과거의 우리가 되셨고, 우리는 현재의 그가 된다.
117~118. 나는, 자유는 내가 나 아닌 어떤 사람인 체하는 것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 있는 그대로 나를 용납하는 어떤 이의 애정 어린 환대로부터 나온다는 것을 배웠다. … 그리스도는 우리의 거짓 가면을 그 자신의 진짜 얼굴로 바꾸신다.
128~129. “당신이 충분히 참회할 수 있을 때까지 기다린다면, 기쁨을 듣는 데에 결코 이르지 못할 것이다”라고 루터는 말한다. … “참회가 가장 높고 가장 완벽할지라도, 공의의 관점에서는 매우 작은 것이다. 그것은 뭔가를 받을 만하거나 만족을 줄 만한 것이 전혀 아니다.” 루터는 주장하기를, 우리는 관심을 우리 자신 - 우리 슬픔, 우리 후회, 우리 고백, 우리 회개 - 에게서 돌려 우리 귀를 오로지 하나님 아버지의 용서의 목소리에만 맞춰야 한다. … 완벽한 회개를 추구하는 것은 어리석은 일이며, 우리를 그리스도께로가 아니라, 우리에게로 되돌아오게 한다.
130~131. 우리가 회개한다라기 보다는 오히려 그가 우리를 회개하게 하신다. … “하나님의 인자하심이 너를 인도하여 회개하게 하심”(로마서 2장 4절)
147. 나의 끈질긴 반역의 모든 세월이 지나자, 용서하시는 구주 주위에 동료 죄인들이 모인 공동체로 하나님은 나를 다시 데려오셨다. 내 영혼의 흉터들은 여전히 거기에 있다. 그렇다고, 좋아 보이라고 우리를 모으신 게 아니다. 교회는 아픈 이들, 부상당한 이들, 죽어가는 이들을 위한 치유하는 안식처이다. 여기 우리 하나님 아버지의 집에서, 모든 것이 제자리를 찾는다.
156~157. 우리 모두는 우리가 씨름하게 될 밤이 얼마나 오래 지속될지 알고 싶어한다. 내 삶은 언제 다시 본 궤도를 달릴까? 나는 언제 회복될까? 고통과 후회는 언제 사라질까? 시편 기자의 가장 빈번한 질문이 “주여, 어느 때까지요?”라는 것은 놀랍지 않다. 답은 언제나 똑같다. 그 날이 동틀 때까지. 주께서 새벽이 들어오게 한 그 시간까지. 주께서 자신과 우리를 위해 - 우리가 볼 수 없고, 빈번히 느낄 수 없는 방식으로 - 어둠을 다 이용하실 때까지.
163. 자초했든 아니든, 어떤 고난을 견뎌냈든, 그 고난은 우리 하나님 아버지께서 우리에게 거룩한 임무로서 부여하신 흉터이다. … 우리 흉터는 우리에게 주신 하나님의 선물이다. 그 흉터는 예수께서 우리를 과거에 묶어 두시려 함이 아니라 우리를 하나님의 상하게 하는 능력과 치유의 은혜를 아는 자로서 미래로 나아가게 하시려는 수단이다.
*
나의 ‘의’의 죽음, 말씀으로 각인된 무의식의 회개 — 갈라디아서 2장 20절이 체화된
고난의 목적. 자기 부인, 즉 십자가의 성육신
작년 4월 암 진단을 받은 김동호 목사의 설교. “염려가 아닌 믿음을 가불”, “하루를 극대화 하여 사는 길 — 항상 기뻐하고 쉬지 말고 기도하며 범사에 감사”
“기도를 어중간히 하면 더 혼란스러워 집니다. 설령 응답에 대한 믿음이 없더라도 그리스도께서 함께 하신다는 믿음으로 기도할 수 있습니다.”(유기성)
Q. “대학 입시를 추첨제로 바꿔 제비뽑기로 학생을 선발하자는 도발적 제안을 하기도 했다.”
A. “지금의 대학 입시에서도 운이 작용하고 있음을 강조하고 싶었다. 보통 하버드대에 4만명이 지원해 2000명 정도가 합격한다. 입학 사정관들은 지원자 중 대부분이 하버드대에서 공부할 충분한 자격을 갖췄다고 말한다. 그러니 최소한의 능력을 갖춘 학생들끼리 제비뽑기를 해 학생들의 스트레스를 줄이고 승자가 좀 더 겸손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자는 것이다. 한국 사회는 내 도발적 제안을 어떻게 받아들일 것 같나?”
능력주의를 완화하기 위해 ‘제비뽑기’를 도입하자는 제안은 — 가라타니 고진의 ‘대의제’ 구상을 연상시킨다.
* 변수 선택 — 래퍼 기법 — RFE(Recursive Feature Elimination) + SVM
* 머신 러닝 — 지도 학습 — SVM(Support Vector Machine)
* 적합성 검정 — [가정된 확률이 없는] 정규성 검정 — 콜모고로프-스미르노프 검정
“하나님의 개개인을 향한 일하심은 오랜 기간 ‘시련’을 통해 우리 안에 믿음이 자리잡게 하시고 그 믿음 위에 무엇이든 세우시기를 원하신다는 것을 깨닫습니다. … 그 고난을 지나 쓰임받는 기간이 그리 길지 않다 할지라도 믿음 위에 세워진 것은 상황과 상관없이 진정한 충성과 감사만 있게 하심을 믿습니다.”(곽인순)
* 공감 능력이 부족한, 기도 많이 하는 사람은 그 존재 자체로 폭력이 되나 당사자는 알지 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