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chive for September, 2007

September 23, 2007: 12:21 am: bluemosesErudition

1. “그[Balibar]가 스피노자의 텍스트에서 읽어낸 ‘대중들의 공포(fear of the masses)’는 대중의 공포인 동시에 대중에 대한 공포를 의미하는 것으로 대중이 지닌 힘의 양가성을 잘 표현한다. 즉 대중의 힘은 혁명을 일으킬 수도 이에 반발하는 힘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는 해석이다. … 반폭력 정치에 대한 사고는 시민인륜(civilite) 개념으로 정교해진다. 시민인륜은 ‘시민권’과 ‘사적이고 공적인 윤리’라는 이중적인 의미를 결합한 신조어이다.”

2. “주권권력은 항상 ‘희생’을 통해 벌거벗은 인간(Homo Sacer)을 만들어낸다. 그[Agamben]는 이 ‘희생’을 <장치란 무엇인가?>에서 ‘장치’로 바꿔 부른다. 주권권력은 항상 장치를 통해 주체를 생산함으로써만 작동한다.” “푸코는 ‘장치’라는 표현을 쓰기 이전에 ‘실증성’(positivit)이라는 표현을 즐겨 썼다. ‘실증성’이란 규칙, 의례, 제도의 무게와 더불어 외부의 권력에 의해 개인들에게 부과되어 신앙과 감정체계 속에 내부화된 역사적 요소에 [청년 헤겔이] 붙인 명칭이었는데, 푸코는 이를 권력관계가 그 안에서 구체화되는 제도들, 주체화 과정들, 규칙들의 집합으로 재규정함으로써, 권력관계가 작용하는 구체적인 메커니즘을 포착하려고 했다.” “장치란 용어는 존재 안에 최소한의 토대 없이도 순수 통치 활동이 그것으로, 그것에 의해 실현되는 것을 명명한다. 그렇기 때문에 장치들은 항상 주체화 과정을 함축해야 한다.” “나[Agamben]는 생명체들의 몸짓들, 행동들, 의견들, 담론들을 포획하고, 유도하고, 결정하고, 차단하고, 만들고, 통제하고, 보장하는 능력을 가진 모든 것을 ‘장치’라고 부른다. 따라서 감옥, 수용소, 판옵티콘, 학교, 고백, 공장, 규율, 법적 조치들뿐만 아니라 펜, 글쓰기, 문학, 철학, 농업, 담배, 항해, 컴퓨터, 핸드폰, 그리고 언어 자체도 장치이다.”

3. “사랑의 선택은 그 자체로 이미 폭력이다. 왜냐하면 사랑은 그 대상을 원래의 맥락에서 떼어내어 ‘숭고한 대상’으로까지 고양시키기 때문이다(Violence is already the love choice as such, which tears its object out of its context, elevating it to the Thing).”

* “이를테면 이탈리아의 철학자인 조르지오 아감벤은 1995년에 이탈리아에서 출간된 호모 사케르에서 푸코의 생체정치 개념을 기반으로 삼아 20세기의 나치즘과 파시즘 같은 전체주의 정치를 해명하려고 시도했다. 또한 2001년 출간된 이래 세계적인 베스트셀러가 된 네그리와 하트의 제국에서도 생체권력 개념은 주요한 이론적 개념으로 활용되고 있다.” 2005년 이후 미완결된 나의 문제의식이 고스란히 녹아있다.

September 22, 2007: 11:53 pm: bluemosesErudition

1. 결과보고   2. 자료정리   3. 감사표시

: 11:48 pm: bluemosesErudition

“Do, or do not. There is no try.”

September 16, 2007: 5:07 am: bluemosesErudition

Bottom Line: This monster film makes even the remake of “Godzilla” look good.

By Frank Scheck(Sep 17, 2007)

  “Unlike his countryman Joon-ho Bong’s , which revived the monster movie genre with wit and style, South Korean helmer Hyung-rae Shim applies a strictly grade-Z sensibility to . Belatedly receiving a U.S. release after it became a huge hit in its native country (under the title “D-War”), the film boasts superior CGI special effects for a movie of its type. But it’s unlikely to erase anyone’s fond memories of the original “Godzilla” and its ilk.” 

… “While the CGI effects are undeniably impressive, the laughable story line, risible dialogue and cheap humor (most of it involving a hapless zoo security guard) seriously detract from the fun. Neither Behr (who starred on the WB Network’s “Roswell”) nor Brooks adds much interest to the proceedings, and Forster delivers what might be the first bad performance of his career. Even such normally reliable supporting players as Chris Mulkey and Elizabeth Pena don’t come off well.”

September 10, 2007: 7:35 am: bluemosesErudition

“전라도 사람이라는 건 한국 사회에서 유리한 조건이 아닙니다. 때에 따라선 결정적으로 불리한 조건이 되기도 합니다. 그런 것을 모를 리 없는 전주고 출신 사람들이, ‘호남 차별’에 대해 분노하고 불평하는 전주고 출신 사람들이 ‘나머지 고등학교’ 출신 사람들을 차갑게 대하는 걸 보면, 역겨움 비슷한 게 생깁니다. 역겨움은 윤리적 판단이 아니라 미적 판단입니다. 악한 사람이라기보다 못생긴 사람, 못난 사람이라는 생각이 든다는 거지요(고종석).”

“부르디외는 음악에 관한 이야기를 하는 데에 반감 같은 것을 가지고 있다. 그 이유가 재미있다. 음악에 관한 담론은 가장 인기 있는 지적 과시의 기회 가운데 하나가 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음악에 관해 말하는 것은 자신의 교양의 폭과 해박성을 표현하는 훌륭한 기회인데, 그는 그것이 못마땅하다는 것이다. 음악에 대한 기호만큼 그 사람의 ‘계급’을 확인시켜 주는 것도 없으며, 또한 그것만큼 확실한 분류 기준도 없다고 하는 그의 주장은 귀담아 들을 만 하다. 한 개인의 기호 또는 취향이 그토록 많은 것을 폭로할 수 있는 것인지 의아하게 생각할 사람이 있을 것이다. 그러나 부르디외는 미적으로 편협하다는 것은 가공할 폭력성을 지니고 있다는 점을 상기시키면서, 기호는 혐오와 분리할 수 없다고 단언한다. 다른 삶의 양식에 대한 혐오는 계급 사이의 가장 두터운 장벽중의 하나라는 것이다. 부르디외가 보기에, 우리가 예술작품에 대해 취하는 태도는 미학적 느낌의 자발적 결과가 아니라, 교육과정의 사회적 산물이다. 거기서 미적 판단은 계급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강준만).”

“… 정치가 국민적 냉소와 혐오의 대상이 되면서도 계속 성장산업으로 클 수 있는 이유가 바로 여기[제도/조직의 권위와 후광효과]에 있을 게다. … 일상적 삶의 영역에서도 권력지향적인 사람을 유능하다고 보는 게 아니라 추하다고 보는 심성을 가꿔 나가야 한다(강준만).”

: 12:16 am: bluemosesErudition

“니체의 가장 중요한 철학적 목표는 ‘니힐리즘의 자기극복’이었다. 니체가 니힐리즘이라고 부르는 것은 ‘세상 모든 것이 헛되다’라고 탄식하는 단순한 허무의식이 아니라, 현실의 세계 자체를 적극적으로 인정하지 않고 현실 너머의 ‘진짜 세계’, ‘초월적 본질’을 찾는 모든 본질주의적 사고방식을 가리키는 말이다. 예컨대 현세 부정의 전통적 니힐리즘이나, 현실 세계를 관통하는 어떤 법칙에 매달리고 화폐를 맹목적으로 숭배하는 현대의 니힐리즘을 니체는 극복해야 할 ‘질병’이라고 규정했다.

그 질병을 극복하려는 과정에서 니체가 발견한 개념이 ‘힘에의 의지’이다. 이 세계는 곧 시작도 끝도 없는 거대한 힘이며, 힘들과 힘의 파동의 놀이로서 하나이자 동시에 다수이고, 자기 안에서 휘몰아치며 밀려드는 힘들의 바다이며, 영원히 변화하며 영원히 되돌아오고, 어떤 포만이나 권태나 피로도 모르는 생성이다. 영원한 자기창조와 영원한 자기파괴의 세계가 ‘힘에의 의지’다.”

September 9, 2007: 11:40 pm: bluemosesErudition

“리스 마르코스에 따르면 인도네시아에서 퍼져나가는 근본주의의 근거에는 지구화에 의해 심해진 극심한 빈부격차, 가난, 삶의 유동성, 정체성 해체, 미국을 중심으로 한 서구 제국주의의 이슬람 침략에 대한 분노, 인도네시아의 세속주의 정부가 보여준 경제부흥과 민주주의 수립의 실패 등에 기인한다고 한다. 민족주의, 사회주의, 경제개발, 세속주의, 민주주의 … 모두 그럴싸한 비전을 제시하며 인도네시아 민중들에게 잘사는 미래를 약속했지만 어느 하나도 약속을 지키지 못했다는 것이다.

이러한 역사적 현실에 대해 인도네시아의 근본주의자들은 마지막 남은 카드로 ‘이슬람’ 카드를 들고 나온 것이라 한다. 그들은 이제 이슬람 종교에 근거한, 부정부패를 물리치고 모든 ‘우마’(공동체)가 함께 나누며 사는 이슬람 이상국가, 파라다이스를 꿈꾼다 한다. 이 집단에서는 여성들을 이 파라다이스의 어머니라고 치켜세우며 파라다이스 건국을 위한 전사들을 많이 생산해 달라고 부탁한다. 여성들은 근본주의를 통해 가지게 된 파라다이스 건국의 어머니라는 정체성에 지금껏 한번도 느껴보지 못한 자부심과 삶의 큰 목적을 느끼며 헌신한다고 한다. 그들은 더 많은 전사 생산을 위해 자신들의 남편에게 둘째, 셋째 부인까지 직접 찾아다 바친다는 것이다.”

: 7:44 pm: bluemosesErudition

“In the midst of a crisis, no one knows how far an economy will drop or for how long. But capitalism, since its beginning, has been marked by crises; each time, the economy recovers, but each crisis carries its own lessons. So ten years after Asia’s crisis, it is natural to ask: what were the lessons, and has the world learned them? Could such a crisis recur? Is another crisis imminent?”

“Before the crisis, some thought risk premia for developing countries were irrationally low. These observers proved right: the crisis was marked by soaring risk premia. Today, the global surfeit of liquidity has once again resulted in comparably low risk premia and a resurgence of capital flows, despite a broad consensus that the world faces enormous risks (including the risks posed by a return of risk premia to more normal levels.)”

“But there are some big differences between then and now. Most developing countries have accumulated massive foreign currency reserves. They learned the hard way what happens to countries otherwise, as the IMF and US Treasury marched in, took away economic sovereignty and demanded policies intended to enhance repayment to Western creditors, which plunged their economies into deep recessions and depressions.”

This growth in reserves, while providing insurance to developing countries, created a new source of global volatility. Especially as the dollar lost its sacred place as a store of value under the Bush administration, rebalancing these multi-trillion dollar portfolios entails selling off dollar holdings, contributing to the dollar’s weakening.”

“Indeed, the two most important lessons of the crisis have not been absorbed. The first is that capital market liberalization – opening up developing countries’ financial markets to surges in short-term “hot” money – is dangerous. It was not an accident that the only two major developing countries to be spared a crisis were India and China. Both had resisted capital market liberalization. Yet today, both are under pressure to liberalize.”

“The second lesson is that in a highly integrated world, there is a need for a credible international financial institution to design the rules of the road in ways that enhance global stability and promote economic growth in developing countries. With the IMF so dominated by the US (it is the only country with a veto) and Europe (which, by custom, appoints its head), the Fund was long seen as representing the interests of international creditors. Its failures in the 1997 crisis further undermined its credibility, and its failure to do anything about the massive global financial imbalances that represent the main threat to global financial stability today, have underscored its limitations(출처).”

September 4, 2007: 7:50 am: bluemosesErudition

나는 허약한 심신의 흐느낌을 몇 개의 설익은 단어로 붙잡았을 뿐이다.

: 5:04 am: bluemosesErudition

‘너는 내 앞에서 완전하라(’07.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