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chive for February 6th, 2011

February 6, 2011: 3:23 am: bluemosesErudition

“연구자들은 백남준의 성취가 단순히 미학적 결과물이 아니라, 백남준의 실천과 사회공간이 조응하는 지점에서 철저하게 사회화되는 과정과 분리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 백남준의 미학적 성취는 그것을 가능하게 했던 특정한 객관적인 사회적 조건의 맥락 위에서 평가되어야 한다. … 식민지 한국에서, 제국주의 일본을 거쳐, 독일과 뉴욕, 그리고 다시 80년대 후반 대한민국으로 회귀하는 과정에서, 백남준과 사회공간이 만들어낸 궤적은 반드시 백남준의 주관이나 판단으로 환원될 수 없는 사회적 결과를 초래했으며, 지금까지 백남준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업적들이 간과했던 지점이기도 하다.” _ 김동일, 선내규(2010). 백남준의 사회학, 음악장의 전복자에서 미술장의 지배자로

: 3:04 am: bluemosesErudition

서울대 한숭희 교수의 의문(왜 교육학은 경제학의 체계를 갖추지 못하였는가)을 서강대 김경만 교수가 해소(한국사회학의 도약을 위한 과학사회학적 모형)하였다고 생각한 바 있었다. 그러나 그것은 불충분한 답변이었다. 보다 근원적으로 ‘지식’에 관한 탐구가 요청된다. 참고로, “소위 지식에서 도덕성이 탈각되기 시작한 현상이 18~19세기를 거치며 서양에서 일어난 거대한 변환 중 하나라고들 한다. 동아시아인들은 (일본 정도를 제외하고는) 서구의 지식을 깔보았으나 19세기에 크게 당한 이후 지식=유용성/힘이란 등식을 확립했다.”

1. Peter Burke(2000). A Social History of Knowledge: from Gutenberg to Diderot

2. Steven Shapin(1996). The Scientific Revolution

3. Peter Dear(2001). Revolutionizing the Sciences: European Knowledge and Its Ambitions, 1500~1700

4. Thomas Hankins(1985). Science and the Enlightenment

5. Michael Adas(1989). Machines as the Measure of Men: Science, Technology, and Ideologies of Western Domin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