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절의 가장 중요한 날인 마지막 날에, 예수께서 일어서서, 큰 소리로 말씀하셨다. ‘목마른 사람은 다 나에게로 와서 마셔라. 나를 믿는 사람은 … 그의 배에서 생수가 강물처럼 흘러나올 것이다.’ 이것은, 예수를 믿은 사람이 받게 될 성령을 가리켜서 하신 말씀이다.”(요7:37~39)
* 간단없는 변혁의 동인
“명절의 가장 중요한 날인 마지막 날에, 예수께서 일어서서, 큰 소리로 말씀하셨다. ‘목마른 사람은 다 나에게로 와서 마셔라. 나를 믿는 사람은 … 그의 배에서 생수가 강물처럼 흘러나올 것이다.’ 이것은, 예수를 믿은 사람이 받게 될 성령을 가리켜서 하신 말씀이다.”(요7:37~39)
* 간단없는 변혁의 동인
conscientization / consciousness-raising
대개 영과 육의 영향력이 혼에 전달되는 경로를 무의식이라 통칭하는데, 이것의 인지를 일컬어 의식화라 할 수 있다. Freire는 의식화를 정치적 각성에 국한시켰으나 의식고취로 정정해야 옳다.
“미국 대학의 보편적 학생선발 제도인 입학사정관제는 1922년 아이비리그 가운데 하나인 다트머스 대학이 가장 먼저 도입했다. 유대인 이민자 자녀들이 우수한 성적을 바탕으로 대거 미 명문대학에 입학해 주류를 이루자 이들의 독주를 막기 위해 등장했다. 이후 하버드대학을 비롯해 아이비리그 대학이 받아들였고 현재 거의 모든 미 대학들이 이 제도를 활용하고 있다.”(국민일보, 2011. 5. 11)
1. 서울대교구 수유1동 성당의 정무웅 주임 신부는 “만물이 소생하는 이 아름다운 계절 부처님께서 자비를 안고 이 세상에 오셨다. … 우리 모두 부처님의 진리를 깨달아 백팔번뇌로부터 참된 자유 얻기를 축원한다“고 하였다(한국일보, 2011. 5. 3).
2. “관용의 개념에는 한계가 있어야 한다. … 때로 열린 마음은 위험천만하게도 비어 있는 마음에 가깝다.” “그리스도인들은 배타주의자가 아니라 특수주의자다.”(J. E. White, 2003[2005]: 43~44)
3. “그러므로 예수께서 자기를 믿은 유대인들에게 이르시되 너희가 내 말에 거하면 참으로 내 제자가 되고, 진리를 알지니 진리가 너희를 자유롭게 하리라”(요 8:31~32)
“세상에서 가장 악한 왕이었던 아합 밑에도 하나님을 경외하는 오바댜가 있었다. 그는 이세벨이 여호와의 선지자를 죽일 때에 선지자 백 명을 떡과 물로 보호하였다. 오랜 가뭄에 아합이 오바댜와 함께 물을 찾아 나선 것을 보면 그는 아합의 가장 신뢰 받는 인물이 아니었나 싶다. 어떻게 이런 일이 가능할까?”(김길, 2010: 206~207)
은유가 세례교인이 되었다. 유아세례는 15세까지 부모가 책임지고 아이를 신앙으로 양육하겠다는 일종의 ‘보증’이다.
1. “신대륙의 발견이 유럽에 미친 영향으로 무엇을 꼽을 수 있을까? 스페인, 포르투갈을 중심으로 한 유럽 체제의 판도 변화? 은의 대량 유입으로 인한 가격혁명? 물론 이런 외적인 변화들 또한 빠트릴 수 없는 중요 사건들이지만 1993년 출간된 <New worlds, Ancient texts>는 전혀 다른 해답을 제시한다. 바로 ‘유럽의 지적 패러다임의 전환’이 그것. 1450년부터 1700년에 이르기까지 신대륙의 발견이 가져온 변화를 ‘전통적 사고 체계의 전환’이란 관점에서 새롭게 살피며 여러 사료와 고문서, 지도, 삽화 등 다양한 자료를 통해 이를 흥미롭게 풀어내고 있다.”
2. Anthony Grafton은 “문헌 자체의 내용보다도 문헌들이 지녀온 권위에 주목한다. 거의 모든 계층에게 어필한 고대의 텍스트들이란 그리스-로마의 고전과 성서로 상징되는 ‘고대의 텍스트’로서, 본질적으로 ‘규범적 텍스트’로서의 성격을 지닌다. 이러한 고대의 텍스트는 16세기 초반까지 유럽에서 결코 쓰러뜨릴 수 없던 견고한 지적 패러다임을 형성했다. 유럽인들은 이런 전통적 텍스트를 바탕으로 지도를 만들었고, 미지의 세계에 살고 있던 이들의 모습을 규정했으며, 그들과의 접촉에 수반될 수 있는 행위의 지침을 도출해냈다. 그리고 르네상스 시대 인쇄술의 전파는 고대의 텍스트가 가진 절대성이 오히려 널리 확산되고 일반화된 담론으로 자기 매김하도록 돕는 구실을 했다.”(설혜심, <역사학보> 제160호 서평)
* 자료와 서평이 간추린 요지가 상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