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 앞에 먼지가 아른거리는 비문증이 왔다.
“경남대학교 사학과의 이종흡(李宗洽) 교수가 집필한 이 책은 박사학위논문 “근세초 유럽의 비학, 자연과학, 인문학에서 담론적 연속과 변화에 관한 연구: F. Bacon과 G. Vico를 중심으로”의 주제를 발전·확장시킨 것이다. … ‘사물’, ‘사물에 대한 관념’, ‘언어에 의한 관념의 표상’이라는 세 가지 요소가 구분되기 시작하였으며, 그것은 과학적 담론뿐만 아니라 인문학에서도 과학적 담론이 태어날 수 있는 토양이 되었다.”
“아마도 2010년대는 인터넷이라는 온라인 세계가 오프라인으로 본격 진출하는 시대가 되지 않을까 싶다.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스마트 기기들이 인터넷을 가상공간 안에 가둬놓는 것이 아니라 실제 공간 속으로 옮겨놓을 수 있게 됐기 때문이다. 이른바 ‘사물 인터넷’이라는 개념도 한몫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주변의 많은 기기들이 놓인 장소 자체가 인터넷과 연결되어 빅데이터를 뿜어내고 있다. … 이런 기능을 두 손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게 하자는 것이 스마트 안경인 셈이다.”
“제 철학적 주저라고 할 만한 것은 <시차적 관점>을 포함해서 <이데올로기의 숭고한 대상>, <부정적인 것과 함께 머물기>(도서출판b, 2007), <까다로운 주체>(도서출판b, 2005), 네 권이라고 했지요. 주로 헤겔과 독일 관념론을 주로 다룬 것입니다. 아시겠지만, 제 철학은 라캉 정신분석을 통해서 헤겔 철학을 새롭게 독해하는 것입니다.”
not so much A as B = not A so much as B = less A than B = B rather than A
“‘예수와 맑스를 동시에 따른다’고 말하던 사람, 우고 차베스(1954. 7. 28. ~ 2013. 3. 5.)의 명복을 빈다.”
Micah 7:19 NIV
You will again have compassion on us; you will tread our sins underfoot and hurl all our iniquities into the depths of the sea.
Numbers 23:19 NIV
God is not human, that he should lie, not a human being, that he should change his mind. Does he speak and then not act? Does he promise and not fulfill?
1 Corinthians 1:18 NIV
For the message of the cross is foolishness to those who are perishing, but to us who are being saved it is the power of God.
Hebrews 11:6 NIV
And without faith it is impossible to please God, because anyone who comes to him must believe that he exists and that he rewards those who earnestly seek him.
“What role is social theory (or a social theorist) supposed to play in cultural changes? To what extent can the social theorist claim that his/her cultural criticism is objective, or, to put it in another way, how can he/she objectify (and justify) his analytical position vis-à-vis that of the lay actors? If it is impossible to provide an objective critique, where should we look for an alternative? A group of contemporary cultural/social theorists, especially those working in the postmodern/performative social science tradition, argues that it is not through an objective theory about the presumed reality but through a “narrative” about human suffering that we can achieve freedom from oppression and cruelty. This seminar critically explores a wide range of arguments concerning the power of narratives and ethnography (and ‘writing’ as social performance) in changing the conception of who we are and what we can do to free ourselves from domination and sufferings.”(Kim, Kyung-M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