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chive for February, 2019

February 11, 2019: 3:34 am: bluemosesErudition

몸때가 오면 열 손톱마다 비린 낮달이 선명했다.

물가를 찿는 것은 내 오랜 지병이라, 꿈속에도 너를 탐하여 물 위에 공방(空房) 하나 부풀렸으니 알을 슬어 몸엣것 비우고 나면 귓불에 실바람 스쳐도 잔뿌리 솜털 뻗는 거라 가만 숨 고르면 몸물 오르는 소리 한 시절 너의 몸에 신전을 들였으니

참 오랫만에 당신

오실 적에는 불 밝은 들창 열어두고 부러 오래 살을 씻겠네 문 밖에서 이름 불러도 바로 꽃잎 벙글지 않으매 다가오는 걸음소리에 귀를 적셔가매 당신 정수리 위에 뒷물하는 소리로나 참방이는 뭇 별들 다 품고서야 저 달의 맨낯을 보겠네

_ 신미나, 부레옥잠

: 2:52 am: bluemosesErudition

생인손. 손가락 끝에 종기가 나서 곪는 병

: 2:42 am: bluemosesErudition

마네키네코와 테루테루보즈

: 1:09 am: bluemosesErudition

앙드레 지드의 <좁은 문>. 제롬과 쥘리에트는 보들레르의 시를 낭독한다. “머지않아 우리는 차가운 어둠 속에 잠기리. 안녕, 너무 짧았던 우리 여름의 찬란한 빛이여!”

February 10, 2019: 5:14 pm: bluemosesErudition

“And you were dead in the trespasses and sins in which you once walked, following the course of this world, following the prince of the power of the air, the spirit that is now at work in the sons of disobedience — among whom we all once lived in the passions of our flesh, carrying out the desires of the body and the mind, and were by nature children of wrath, like the rest of mankind. But God, being rich in mercy, because of the great love with which he loved us, even when we were dead in our trespasses, made us alive together with Christ — by grace you have been saved — and raised us up with him and seated us with him in the heavenly places in Christ Jesus, so that in the coming ages he might show the immeasurable riches of his grace in kindness toward us in Christ Jesus.”(Ephesians 2:1‭-‬7)

: 5:06 pm: bluemosesErudition

잠자던 질문이 눈을 떴다. 무려 24년 만이다. 삼성의 창업주 고(故) 이병철(1910~87) 회장이 타계하기 한 달 전에 천주교 신자에게 내밀었던 종교적 물음이 언론에 처음 공개됐다. 24개의 질문은 A4용지 다섯 장에 빼곡히 적혀 있었다. “신(神)이 존재한다면 왜 자신을 드러내지 않는가?”라는 첫 물음부터 “지구의 종말(終末)은 오는가?”라는 마지막 물음까지, 경제계의 거목이 던졌던 종교적 질문에는 한 인간의 깊은 고뇌가 녹아 있다. 그 고뇌는 오늘을 사는 우리의 종교적 물음을 정면으로 관통한다. 이 질문지는 1987년 ‘천주교의 마당발’로 통하던 절두산 성당의 고(故) 박희봉(1924~88) 신부에게 전해졌고, 박 신부는 이를 가톨릭계의 대표적 석학인 정의채(86·당시 가톨릭대 교수) 몬시뇰에게 건넸다. 정 몬시뇰은 답변을 준비했고, 조만간 이 회장을 직접 만날 예정이었다. 그러다 이 회장의 건강이 악화됐다. “건강이 좀 회복되면 만나자”는 연락이 왔지만, 이 회장은 폐암으로 한 달 후에 타계하고 말았다. 문답의 자리는 무산됐다. 정 몬시뇰은 20년 넘게 질문지를 간직했다. 그러다가 2년 전 제자인 차동엽(53·인천가톨릭대 교수) 신부에게 질문지가 들어갔다. 차 신부가 여기에 답을 준비했다. 그 답을 모아 연말에 『잊혀진 질문』이란 책을 낸다.

: 1:11 pm: bluemosesErudition

116~117. 프로이트는 애도trauer와 멜랑콜리를 구분하면서, 애도가 대상의 상실을 받아들이고 극복하는 정상성의 양태라면, 멜랑콜리는 상실한 대상을 자신과 동일시하는 비정상성의 양태라고 말한다. 전자가 세계의 빈곤을 극복하려는 작업trauerarbeit을 통해 새로운 대상으로 옮아간다면, 후자에서는 새로운 대상을 찾지 못한 채 자아에 리비도가 머문다. 대상은 우울증적 주체의 내부에 녹아버리고, 주체가 대상으로 물화되어버리는 것이다. 지젝은 이런 구분이 상실과 결핍의 착란에서 비롯되었음을 지적한다. 그에 따르면 멜랑콜리는 대상의 상실에서 생기는 게 아니다. 상실했다고 생각했던 그 대상이 실은 처음부터 결핍되어 있었다는 것이다. 원래부터 부재했던 대상이 잃어버린 대상인 것처럼 받아들여질 때 멜랑콜리가 생겨난다. 대상은 그 결핍(부재)에서 출현한다. 처음부터 상실해본 적 없는 대상이, 그 상실이 제스처 속에서 역설적으로 떠올라오는 것이다. 시인이 “나는 아무도 없는 어두운 대성당이다”라고 외칠 때 겨냥하는 것이 이것이다. 대상의 상실이 아니라 부재를 받아들이는 것, 그리고 그를 통해 낮의 시간과 질서가 아닌 밤의 시간과 질서를 제 안에 마련하는 것.

118. 내가 때리자 되돌아오는 저 샌드백처럼, 묵중하게 내게 안겨오는 어떤 구체가 있다. 상실의 몸짓이 오히려 부재했던 실체를 불러왔다. 나는 너를 안았는데, 내게 안긴 것은 샌드백이었다. 사랑에 대한 후일담이 사랑보다 앞선다는 게 이런 뜻이다.

120~121. 자동사적인 발화의 특징은 무엇일까? 첫째, 그것은 기호의 대량생산이 가능한 발화다. 대상을 지시하는 기호가 주체가 의도한 단일한 판에 이식되지 않고 의미들을 거느린 채 다른 기호들로 전이하기 때문이다. 수많은 시니피앙들 곧 ‘여러 개의 기호’가 하나의 ‘기호의 기호’를 시니피에로 갖는 것. 그래서 그것은 통상의 관점에서 보면 (벤야민의 말대로) ‘기호의 폐허’이지만, 자유롭고 무한한 생산을 가능하게 하는 ‘기호의 공장’이기도 하다. 둘째, 기호의 물질성이 강조되는 발화다. 자동사적인 발화는 의도의 차원으로 축소되지 않으므로 그 자체로 존재한다. 그 자체로 존재하는 것, 그것이 물질이다. 이 기호들도 시적 세계의 구성물이다. 발화되는 순간, 소리(청각 영상)와 이미지(시각 영상)로 전환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셋째, 그 자체가 다른 것에 종속되지 않으므로, 그것은 지속성을 특징으로 하는 발화다. 물론 이때의 지속성은 단일한 실체의 연장이 아니라, 계기적인 것이다. 발화의 시간을 분절하면서 잇는 것이기에, 그것은 연속성과는 다르다. 한 기호가 다른 기호로 전변하면서 끊임없이 시니피에들을 생산하데 된다. 이 역시 시적 세계의 특징 가운데 하나다. 넷째, 그것은 무의식의 구성방식을 따르는 발화다. 곧 은유와 환유의 운동을 허락하는 발화다. 하나의 대상이 끊임없이 이동하며 전이하는 방식이 바로 은유와 환유이기 때문이다. 이 역시 시적 발화에 속하는 것임은 말할 것도 없다. 그러므로 자동사적인 발화는 시적인 발화의 다른 이름이기도 하다. 광기가 천재를 낳는다고 말한 이는 플라톤이고, 모든 천재는 멜랑콜리를 가진 사람이라고 말한 이는 아리스토텔레스다. 괴테 역시 시를 낳는 특별한 재능이 멜랑콜리에 있다고 보았다.

127~128. 들뢰즈는 프로이트가 늑대인간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여러 마리의 늑대를 단 한 마리의 늑대로, 결국에는 영(0, zero) 마리의 늑대로 환원해버렸다고 비판한다. 일곱 마리가 표상을 위해 동원되는 과정에서 다양체로서의 제 성격을 잃었다는 것이다. 들뢰즈의 소감은 이렇다. “누굴 놀리는 건가? 늑대들은 도망쳐서 자신의 무리를 찾아갈 기회를 결코 갖지 못했다. 애초부터 동물은 부모들 간의 교미를 표상하기 위해서만 사용되도록 결정되어 있었다.” 분열증자는 표상을 위해, 동일성을 위해 희생될 수밖에 없었던 다수의 목소리들을 제 자신의 분열을 통해 보존한다. 이를테면, 다섯 명의 시인들, 다섯 마리의 새들, 그리고 다섯 마리의 늑대들.

_ 권혁웅, “멜랑콜리 펜타곤”. 진은영의 『우리는 매일매일』 해설, 2008.

February 9, 2019: 2:13 am: bluemosesErudition

윤한덕은 전공의 수련과정이 막 시작된 응급의학과 전문의 과정을 마쳤다. 전문의가 된 이후 통상적인 임상 의사의 길을 갔다면, 자신이 취업하고 있는 병원 응급실에서 근무시간만 지키며 일한다면, 일주일에 한 번밖에 집에 못 가는 생활을 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적은 급여임에도 일단은 공직의 길에 들어섰으니 입신양명이라도 하고자 했다면, 그는 보건복지부에서 통상적인 행정관료의 길을 걸어야 했다. 그렇게 되면 그는 응급의료 분야에서만 일할 수 없고 1~2년이 멀다 하고 근무처를 옮겨 다녀야 했을 것이다. 그는 스스로 보건복지부의 산하기관인 중앙응급의료센터에 자신을 묻으며 관계에서의 출세에는 무심한 채 응급의료 업무만을 보고 살았다.”

: 12:26 am: bluemosesErudition

“진리와 구원에 목마를수록 회의와 망설임은 더욱 거세게 밀려오기 마련입니다.”(이어령)

February 7, 2019: 1:53 pm: bluemosesErudition

2016. 10. 21.자 「문화계 왜 이러나…이번엔 시인 상습 성추행 의혹」 제하의 기사 관련 정정보도

- 본지는 인터넷 한국일보에 게재한 위와 같은 제목의 기사에서 박진성 시인이 A여성에게 “여자는 남자 맛을 알아야 한다”는 부적절한 언행을 하였고, C여성에게는 키스를 하고 가슴을 만지는 등 추행을 한 다음 싫다고 거부하는 C여성을 노래방으로 데려가 자의적이지 않은 성관계를 가졌으며, 이후에도 자해를 운운하며 “다리 벌린 사진을 보내달라”며 성희롱을 계속하는 한편, D여성에게는 남자친구와의 성관계 여부를 물으며 “좀 더 나이 많은 사람과 해보는 건 어떠냐”고 하였고, 낭독회 뒷풀이 자리에서 만난 E여성의 허벅지를 만지고 모텔로 데려가 강제적인 성관계를 갖는 등 수년간 상습적으로 여성들에게 성희롱, 성추행, 성폭행을 하였다고 보도하였습니다.

- 그러나 확인 결과, 위 보도 내용은 모두 사실이 아닌 것으로 밝혀져 이를 바로 잡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