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증은 설교가 아니다. 청중이 공유하고 지향하는 원칙들을 애써 구현해온 ‘자신의 이야기’이다.
간증은 설교가 아니다. 청중이 공유하고 지향하는 원칙들을 애써 구현해온 ‘자신의 이야기’이다.
1. “남들은 지난 10년간 맨땅에 헤딩하며 진보정당 만들었다. 반한나라 전선에 매몰되지 말라? 그래서 남들은 선거 때마다 표 분산시킨다고 몰매를 맞았다. 그동안 철인은 ‘B급’의 이미지를 위해 진보정당보다 늘 “조금 더 왼쪽”에 계시느라 이 모든 번거로움을 모르고 지내셨다. 그러던 분이 지난 10년 동안 올림포스 산정에 오르사 전능하신 플라톤 선생 우편에 앉아 계시다가 저리로서 가짜와 진짜를 심판하러 오셨다.”(진중권, 110228)
2. “내가 문제 삼는 건 선거연합 자체가 아니라 지금 진행 중인 선거연합이 과연 진보의 가치를 관철시킬 수 있는 선거연합인가 하는 것이다. 본디 연합이란 자기 정체성을 지키는 걸 전제로 정체성이 다른 집단과 힘을 모으는 전략적 행위다. 정체성을 지키지 못하는 연합은 ‘연합을 빙자한 흡수통합’일 뿐이다. 극우세력의 집권(혹은 재집권)을 막기 위한 선거연합은 ‘비판적 지지’의 이름으로 지난 20년 동안 반복되어왔다. 처음이라면 모를까 20년을 반복한 일이라면 당연히 그 역사에서 배워야 한다.”(김규항, 110302)
3. 김규항과 별반 차이가 없는 진중권이 자신은 마치 실효적인 양 ‘그래도 현실’을 대변하며 이상에 다가서는 시도를 몽상으로 폄훼하는 것은 비겁하다. 물론 진중권의 비아냥이 가당치 않은 것은 아니다. 김규항의 지사연은 반감을 사기에 무리가 없다. 쟁점의 본질은 선거연합이 아니다. 둘은 동일한 것을 추구하고 있다. 대중을 훈계함으로써 본인의 위신을 높이는 두 사람이 맞붙었고, 양자는 연합할 기세가 엿보이지 않는다. 표리부동이다.
“우리 몸에 있는 세포마다 미움과 질투와 시기 대신 사랑과 용서와 인내로 채워야 합니다. 먼저 사람을 사랑하고 모든 일에 정직하십시오. 죄를 짓더라도 속히 회개하십시오.”(228) “정결해야 합니다. 누구든지 사랑하고 용서하며 정직하면서, 모든 삶이 하나님 한 분에게만 집중되어야 합니다.”(229) “하나님 한 분께만 집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사람을 진심으로 사랑하며 정직해야 합니다.”(235) “다시 말씀드리지만 마음에 미움과 질투, 거짓과 불신, 욕심과 온갖 세상적인 생각으로 가득 차 있으면, 하나님이 아무리 말씀하셔도 들으실 수 없습니다.”(238) “가장 좋은 방법은 자신을 정결하게 한 상태에서 온전히 기도하는 것입니다.”(243)
* 하나님의 대사2(김하중, 2011)를 읽고 적체된 울분을 씻어버렸다. 사랑은 자신의 유익을 구하지 않는다. 안으로 정결하고, 밖으로 헌신한다. 이는 “하나님의 살아계심을 증거”하는 삶이다.
1. “지금 전 세계 인구가 65억 명이라면 그 중 90%인 약 58억에 가까운 사람들은 가장 기본적인 생필품을 살 수단을 가지고 있지 않다고 합니다. … 그래서 국제개발기업(IDE) 창시자인 폴 폴락은 앞으로 디자인 혁명이나 기술 혁명으로 불릴만한 일이 일어나야 나머지 90%를 위한 기술이 나올 수 있을 거라고 했습니다.”
2. “우리는 이것을 ‘적정기술’(Appropriate Technology) 또는 줄여서 AT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영국의 경제학자 슈마허가 그의 저서 <작은 것이 아름답다>에서 저개발국가를 위한 소규모생산기술인 ‘중간기술’(Intermediate Technology)을 처음 언급했는데, 이것이 나중에 ‘적정기술’이란 개념으로 확대되었습니다.”
3. “이 기술은 현지의 상황을 잘 이해하고 대부분 현지에서 조달할 수 있는 재료를 사용해야 합니다. 해외에서 수입해 온다면 물류비용이나 단가가 상승하기 때문이지요. … 어떤 기술을 일방적으로 주는 것이 아니라, 현지인들을 깊이 이해하고 그들의 필요에 귀 기울이며 그들이 지속적으로 생산하고 또 사용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4. “지속가능하지 않은 것은 적정하다고 볼 수 없는 것이지요. 하지만 이것이 어렵습니다. 예를 들자면 ‘플레이 펌프’(Play Pump)라는 기술을 개발했는데 이것은 아파트 놀이터 같은 곳에서 볼 수 있는 어린이 놀이기구의 원리를 이용하여 만든 것으로 개발 당시 굉장히 주목을 끌었습니다. 아이들이 이 기구를 이용하여 놀면, 지하의 물을 끌어올려서 물탱크에 저장하도록 설계된 것입니다. 아이디어만 들어도 굉장히 좋은 아이템이지 않습니까? 그래서 이 아이디어에 많은 미국인들이 기부해서 이것을 남아프리카 전역에 설치했습니다. 하지만 얼마 후에 가보니 모든 펌프가 거의 놀고 있는 것이었습니다. 왜 그랬을 것 같습니까? 아이들이 처음엔 새 놀이에 신나서 한두 번 놀이기구를 이용하지만 뙤약볕 아래서 물이 나오게 하기 위해 그것을 계속 타지는 않는다는 것입니다. 놀이가 아니라 고된 노동이 되는 셈이니 누가 그것을 타고 놀겠어요. 그리고 ‘모든 사람의 것은 그 누구의 것도 아니다’라는 말처럼 누구도 그 펌프에 대해 주인의식을 갖지 않은 것입니다. 우리의 관점으로 보면 꼭 필요하고 될 것 같아서 어떤 기술을 제공하지만, 현지화가 안 되니 현지에서 활용이 되지 않은 것입니다. 그러므로 중요한 것은 현지인의 관점에서 보고 이해하는 것입니다. … 그래서 무엇을 준다는 개념보다 그들이 할 수 있는 것을 할 수 있도록 자극하고 이끌어주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는 것입니다.”
5. 공처럼 쉽게 굴리며 물을 옮길 수 있는 Q드럼(용량 75리터) / 1년 정도 사용 가능한 개인용 정수기, 생명의 빨대(Life Straw) / 증발열을 이용한 2001년 로렉스 어워드, 타임지 올해의 발명가상 수상작 팟인팟 쿨러(Pot-in-Pot Cooler)
_ 홍성욱 적정기술연구소장(매일성경, 2011. 03+04)
존재는 의식을 규정한다. 간혹 의식이 존재를 압도할 수 있으나, 그것은 사회적 병폐를 극기로 환원하도록 강권하는 신자유주의적 처방이다(<사회학적 상상력> 제1장을 보라). 존재의 극복은 어디서 시작하는가. 영성이다.
휴스턴서울교회 구본채 목자는 ‘영혼구원과 제자양육’을 연신 강조했다. 지당하기에 지루하였다. 그러나 그 속에 은혜가 있었다. 실마리를 얻었다. 살아가는 이유와 공부하는 목적이 일치하는 지점에서 사명은 소생한다.
1. 통합평가시스템의 관건은 ‘전산평가(고교정보)’의 원활한 작동이다.
2. 2차년도 사업예산은 이견이 없는 필수 지출항목에 한해서 신청한다.
버나드 맨더빌의 <꿀벌의 우화>를 접한 뒤, 잠시 반사회적 사회성인 ’개명된 이기심’과 결부지어 “경쟁할수록 윤리적인” 체제를 구상했으나, 이를 잠정 철회한다. 경제공학적 접근의 한계는 강요된 계몽주의, 곧 법(규제)에 불과하지 않은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