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chive for October 24th, 2010

October 24, 2010: 11:30 pm: bluemosesErudition

“천재(ExtraOrdinary Minds / Idiot Savant)를 가능하게 하는 어떤 체제(system)가 있지 않을까?” _ Individuality, Domain, Field

: 11:09 pm: bluemosesErudition

A. “자본주의에 관한 연구가 자본주의를 사는 사람의 경험적 직관과 어긋나면 그 연구는 오류인가? 과학자들에 관한 연구가 과학자의 경험적 직관과 어긋나면 그도 오류인가? 자연에 관한 과학자들의 연구가 자연의 경험적 직관과 어긋나면 그 또한 오류인가?”

B. “대체 누가 그런 소리를?!” “All science would be superfluous if the outward appearance and the essence of things directly coincided.”(Karl Marx)

A. “과학학을 좀 안다고 하는 어느 과학자의 트윗을 우연히 보다 보니 그냥 그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 사회과학철학에서 항상 문제가 되는 대목 아니겠습니까. 현상과 본질의 구별을 무화하여 행위자들의 합리성만을 강조하면 구조적 차원을 간과하기 쉽고, 반대로 가면 행위자들의 ‘인식’을 또 설명해야 하고(sociologist king!).”

C. “내가 두 해 넘게 지속해온 ‘우리 안의 이명박’ 이야기에 대해 여러 논평들이 있었다. 주목할 만한 건 역시 ‘사람들이 사회구조를 만드는 게 아니라 사회구조가 사람들을 만드는 것’이라는 비판이다. 물론 사회구조가 사람을 만든다. 그러나 사회구조가 사람들을 만드는 일과 사람들이 사회구조를 만드는 일은 실은 하나다. 대통령이 아니라 최고경영자(CEO)를 원하는 사람들에 의해 이명박 정권이 탄생한 일과, 나라가 아니라 기업이 된 대한민국에서 사람들이 녹아나는 일은 하나이며 순환구조를 이룬다는 말이다. 그런데 다들 전자는 말하지 않고 후자만 말하니 나로선 고심 끝에 ‘우리 안의 이명박’ 이야기를 한 거였다.”

* 전략-관계론

: 11:05 pm: bluemosesErudition

1. “사람은 무엇보다도 먼저 불안감에서 해방되려 한다. 위대한 선동가는 그것을 이용하여 우선 사람을 불안하게 만들고 그것을 해소하는 가장 손쉬운 길을 제시한다. 그 길이 축제로 변할 수 있을 때 혁명은 완성된다.”

2. 브루노 라투르의 철학은 간결하게 말해 다음 싯구에 대한 안티테제이다. “사랑하는 사람이여 사람을 보내 말하지 말고, 제발 직접 와주세요. 중간에 사람이 끼면 위험하니까요.”

3. “중세의 연애시의 서두이지만, 이 서두는 하나의 깊은 암시를 간직하고 있다. 독자들에게 작품은 직접 읽어야 한다는 권유로 이 서두는 새롭게 읽힐 수 있다.”

: 10:44 pm: bluemosesErudition

Gardner, H. et al.(2007). Good Work: When Excellence and Ethics Meet

Gardner, H. et al.(2007). Responsibility at Work: How Leading Professionals Act Responsibly

: 10:35 pm: bluemosesErudition

로마의 법철학자 도미티우스 울피아누스(Domitius Ulpianus, 170~228)는 법(jus)이 정의(justitia)에서 유래하며, “정의란 각자에게 그의 몫을 주려는 영속적이고 항상적인 의지”(Justitia est constans et perpetua voluntas suum cuique tribuendi)라고 규정하였다.

: 10:17 pm: bluemosesErudition

“정의에 관하여” 20選

01. 정의론(존 롤스)

02. 정의와 배려(마이클 카츠 외)

03. 분배적 정의의 소사(새뮤얼 플레이쉐커)

04. 자유주의는 진화하는가(황경식)

05. 공자, 제자들에게 정치를 묻다(김성희)

06. 불평등의 재검토(아마르티아 센)

07. 롤스, 매킨타이어(이양수)

08. 정의에 관하여(요셉 피이퍼)

09. 법, 정의, 국가(아르노 기그)

10. 법과 소통의 정치(최진홍)

11. 정의로운 체제로서의 자본주의(복거일)

12. 공동체주의와 공공성(마이클 샌델)

13. 덕의 상실(알레스데어 매킨타이어)

14. 정의와 정의의 조건(김우창)

15. 자유주의적 평등(로널드 드워킨)

16. 전쟁과 정의(마이클 왈저)

17.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 윤리학(홍성우)

18. 정의의 타자(악셀 호네트)

19. 경계와 편견을 넘어서(곽준혁)

20. 정의(오트프리트 회페)

: 10:13 pm: bluemosesErudition

응보적 정의, 분배적 정의, 회복적 정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