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chive for April 6th, 2017

April 6, 2017: 11:08 pm: bluemosesErudition

When Jesus had spoken these words, he lifted up his eyes to heaven, and said, “Father, the hour has come; glorify your Son that the Son may glorify you, since you have given him authority over all flesh, to give eternal life to all whom you have given him. And this is eternal life, that they know you, the only true God, and Jesus Christ whom you have sent. I glorified you on earth, having accomplished the work that you gave me to do. And now, Father, glorify me in your own presence with the glory that I had with you before the world existed. I have manifested your name to the people whom you gave me out of the world. Yours they were, and you gave them to me, and they have kept your word. Now they know that everything that you have given me is from you. For I have given them the words that you gave me, and they have received them and have come to know in truth that I came from you; and they have believed that you sent me. I am praying for them. I am not praying for the world but for those whom you have given me, for they are yours. All mine are yours, and yours are mine, and I am glorified in them. And I am no longer in the world, but they are in the world, and I am coming to you. Holy Father, keep them in your name, which you have given me, that they may be one, even as we are one. While I was with them, I kept them in your name, which you have given me. I have guarded them, and not one of them has been lost except the son of destruction, that the Scripture might be fulfilled. But now I am coming to you, and these things I speak in the world, that they may have my joy fulfilled in themselves. I have given them your word, and the world has hated them because they are not of the world, just as I am not of the world. I do not ask that you take them out of the world, but that you keep them from the evil one. They are not of the world, just as I am not of the world. Sanctify them in the truth; your word is truth. As you sent me into the world, so I have sent them into the world. And for their sake I consecrate myself, that they also may be sanctified in truth. I do not ask for these only, but also for those who will believe in me through their word, that they may all be one, just as you, Father, are in me, and I in you, that they also may be in us, so that the world may believe that you have sent me. The glory that you have given me I have given to them, that they may be one even as we are one, I in them and you in me, that they may become perfectly one, so that the world may know that you sent me and loved them even as you loved me. Father, I desire that they also, whom you have given me, may be with me where I am, to see my glory that you have given me because you loved me before the foundation of the world. O righteous Father, even though the world does not know you, I know you, and these know that you have sent me. I made known to them your name, and I will continue to make it known, that the love with which you have loved me may be in them, and I in them.”(John 17:1‭-‬26)

: 11:55 am: bluemosesErudition

꾸준한 학습과 더불어 적절한 비판, 견책 없이 사람은 성장하지 않는다. 이 경우 관록은 아집이다. 조직에서 벗어나는 순간 광채는 휘발되고 남는 묵은 때.

: 11:10 am: bluemosesErudition

19세기와 인상주의 화가들: 불멸은 어떻게 획득되는가. 물가 풀밭에 의복을 갖춰 입은 남자 두 명이 비스듬히 앉아 있고, 그 사이에 벌거벗은 여자가 다리를 살짝 뻗고 있다. 그는 관객을 말끄러미 쳐다본다. 마네의 그림 <풀밭 위의 점심식사>에 등장하는 벌거벗은 그가 바로 인상주의를 이끌어냈다. 처음 전시되었을 때에는 수많은 비난을 불러 일으켰지만 결국 이 그림은 19세기 후반의 반항들 중에서 불멸을 획득한 몇 안 되는 것들 중의 하나이다.

19세기는 공업화의 진전과 자본주의의 전면적 승리에 발맞춘 경제적 합리주의, 역사과학과 정밀과학의 발전 및 그것과 결부된 사유의 과학주의, 계속된 혁명의 실패와 그 결과 생겨난 정치적 현실주의 등의 요란한 술어로써 규정되곤 한다. 그러나 19세기 후반의 파리는 사라짐과 새로움 사이에서 혼란스러울 뿐이었다. 물론 1850년을 경계선으로 삼아 날 선 대조들이 보이긴 한다. 그 전에는 앵그르와 다비드 같은 고전주의자들과 들라크루아 같은 색채주의자가 있었지만 그 후에는 쿠르베의 사실주의와 모네의 인상주의가 나왔다. 그 전에는 낭만주의 시인과 소설가가 있었지만 그 후에는 플로베르, 보들레르의 간결하며 예리하게 날이 선 산문과 시가 나왔다(데이비드 하비, <<모더니티의 수도 파리>> 참조). 그러나 이들에게는 확신이 없었다. 자신들이 진리를 파악했다는 확신이 없었던 것이다.

인상주의는 자기확신의 결여를 확신적으로 펼쳐 보이는 자기역설적 회화이다. 그들은 유기적 전체의 구조화를 이루어내지 못한다. 전체에 대한 환상조차 가지지 못한다. 그들에게 남아 있는 것은 관찰자의 감각기관에 수용되는 성질 뿐이다. 바닥 모를 내면의 응시를 통해 얻어지는 가볍고 일시적이라는 느낌, 시간에 얽매이지 않는 떠돌아 다니기 등을, 현혹되지 않고, 소홀하지 않고, 집착하지 않고, 방심하지 않고, 오직 보이는 것만을, 필연적인 것뿐만 아니라 우연적인 것도, 순간적인 것뿐만 아니라 본질적인 것도, 모든 것을 단일한 시야 안에서 차별 없이 동등하게 포착한다. 이로써 원근법적 세계는 무너지고 모든 것이 중심이 되며 더 나아가 기존의 가치체계는 거침없이 밟힌다. 내면만 간직한 인간은 색채로 뒤덮인 평면에서 만족을 얻고, 이는 결국 (세잔의 회화가 보여주듯) 반이성주의 회화, 내면의 기하학주의로 귀결된다.

지금은 이렇게 그럴싸한 말들로써 인상주의를 치장하는 우리들이 과연 19세기에 그것을 마주했다면 무슨 말을 했을까. 울퉁불퉁하던 세계가 돈 앞에 무너져 평탄하게 되어가던 세계에서, 프랑스와 프로이센의 전쟁 때문에 애국심이 파탄 나는 세계에서, ‘파리코뮌’이라 불리는 계급투쟁의 시가지 전투에서, 인상주의 화가들은 유례없는 혹평을 견디면서 자신들의 그림을 고수했다. 분명 그들은 19세기라는 시대의 혼란함과 교감하고 있었고, 당대의 ‘높으신 분’들은 시대를 살아가지 못하고 있었다. 예술가는 정치적 권위도 후원자도 더 나아가 관객도 믿어서는 안 되는, 오로지 자신만을 믿어야 하는 시대였던 것이다. 그리고 그렇게 자신을 믿었던 자들은 후대의 평가를 얻어 불멸을 획득하게 되었다.

우리는 시대를 앞서 살아가지 못한다. 예술가가 아닌 것이다. 그런 까닭에 우리는 불멸에 가까이 갈 수 없다. 명예를 얻을 수도 없다.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시대가, 도시가 누구의 손을 들어주는지, 그 심판을 지켜보는 것, 관조일 뿐이다.

_ <파리의 심판>, 감수의 글, 2008. 12월.

: 10:50 am: bluemosesErudition

근래 민주주의는 대략 두가지 차원으로 이야기되곤 한다. 정치적 민주주의와 사회경제적 민주주의. 전자는 우리가 통상적으로 말하는 ‘민주화’ 문제고, 후자는 ‘자본주의’ 문제다. 한국 사회는 87년을 기점으로 전자가 진전되어 왔지만 97년을 기점으로 후자의 문제가 오히려 악화되어 왔다는 건 잘 알려진 사실이다. 오늘 세계에서 가장 많이 자살하는 한국인들이 ‘못살겠는’ 이유로 꼽는 문제들은 대개 후자와 관련되어 있다. 빈부격차, 부의 세습과 신분사회화(갑질), 비정규 불안정 노동, 청년 실업, 경쟁교육, 물신주의 등등. 그에 반해 한국의 진보 시민들이 가장 긴급하고 진지하게 분노하고 행동하는 사회 문제들은 대개 전자에 집중된다. 이 희한한 상황이 오늘 한국 사회가 옴짝달싹 못하는(외신에서 ‘한국사회는 몇백만명이 광장에 모이는데 왜 달라지지 않을까’ 질문하는) 주요한 이유다. 물론 이런 상황은 인민들이 후자의 문제를 덮고 전자의 문제에 집중하면 할수록 제 기득권과 헤게모니가 강화하는 자유주의 세력의 작품이다. 그런데 과연 진보적 시민들은 자유주의 세력의 음모에 속아 넘어간 건가? 지난 20여년 동안 나를 포함한 좌파들은 그런 전제의 논의를 이어왔다. 이른바 ‘가짜 진보’ 논의들이다. 그러나 20여년이 지나도 여전히 그렇다면 사실관계를 다시 봐야 한다는 뜻이다.

_ 아담 쉐보르스키를 읽어야 할 시간이라고, 김규항의 글은 말한다.

: 12:44 am: bluemosesErudition

니체의 유고집 <권력에의 의지> 부제는 “모든 가치의 전환 시도”(Versuch einer Umwerthung aller Werte)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