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ructural hermeneutics(or Objective hermeneutics)
“두 번째 목표는 구조해석학의 대표자들이 객관적 해석학이라는 이름으로 표방해 온 방법론적 객관성 주장을 내재적으로 비판하고, ‘해석의 종결 불가능성’(딜타이)이라는 해석학적 인식론의 근본 명제가 구조해석학의 방법적 엄밀성에 의해 부정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더욱 견고해짐을 논증하는 것이다.”
Structural hermeneutics(or Objective hermeneutics)
“두 번째 목표는 구조해석학의 대표자들이 객관적 해석학이라는 이름으로 표방해 온 방법론적 객관성 주장을 내재적으로 비판하고, ‘해석의 종결 불가능성’(딜타이)이라는 해석학적 인식론의 근본 명제가 구조해석학의 방법적 엄밀성에 의해 부정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더욱 견고해짐을 논증하는 것이다.”
10-12. 이 책은 세렌디피티의 행운에 관한 이야기가 아닙니다. 오히려 그런 우연한 발견들을 우연이 아니게 만드는 ‘인간의 생각하는 능력’이 주제입니다. (중략) 인간의 생각이 지닌 두 가지 특징이 있습니다. 하나는 생각을 통해 발견해내는 힘이고, 다른 하나는 그렇게 발견한 것을 다시 생각을 통해 현실에 구현하는 힘입니다.
14-15. 몇몇 영역에서 이미 인간을 뛰어넘은 인공지능은 주어진 문제와 관련해서 쉴 새 없이 자료를 수집하고 그를 바탕으로 최적의 해결책을 찾아냅니다. 하지만 그 문제 자체에 대해 질문을 하지는 않습니다. 인공지능은 그저 주어진 것만을 봅니다. 그런 탓에 주어지지 않은 새로운 것을 볼 수는 없습니다. … 보이는 것을 넘어 보이지 않는 것을 ‘발견’하는 힘 그리고 그렇게 새로이 발견한 것을 현실에 ‘구현’해내는 힘, 이 두 힘은 인간의 지적 문명을 구동하는 힘인 동시에 인간의 생각이 지닌 고유한 본질입니다. 철학자 플라톤이 위대한 까닭은 그가 감각의 눈으로는 보이지 않는 관념의 세계를 볼 수 있게 해주었기 때문이고, 프로이트가 놀라운 이유는 의식하지 못하던 영역을 인식하게 해주었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아직 보지 못하는 영역들, 예를 들면 10의 마이너스 35승 미터의 세계나 10의 27제곱 미터의 세계까지 탐색하고 들여다보고자 애쓰는 이론과학자나 그렇게 본 것을 다른 사람들에게 보이고자 시도하는 실험과학자도 그런 점에서는 마찬가지입니다. 보이지 않는 것을 보려고 하고 또 그렇게 본 것을 다른 사람도 볼 수 있도록 하려는 열정, 그것이 인간을 인간답게 해주는 ‘생각’의 본성입니다.
서번트 증후군이 나타나는 원인에 대해서는 … 현재 가장 설득력 있는 것은 ‘좌뇌의 손상과 우뇌의 보상이론’이다. 출생 때 또는 어린 시절 입었던 좌뇌의 손상, 특히나 전두엽 근처의 손상이 역설적으로 기능의 촉진을 불러오면서 손상되지 않은 우뇌가 모든 역할을 하게 된다.
아스퍼거 증후군 환자는 … 특정한 주제에 대해 강한 관심을 가지며 특정한 주제에 대해 듣는 이의 느낌이나 반응에 신경을 쓰지 않고 이야기를 한다. 장황하고 말이 많거나, 갑작스럽게 대화의 주제를 바꾼다거나, 문자를 있는 그대로를 이해한다거나, 자기 자신에게만 의미가 있는 은유를 사용한다.
Charles Percy Snow, 1959 Rede Lecture at the University of Cambridge, The Two Culutures and the Scientific Revolution
1.
괴테(1749~1832), 파우스트 초판본(1775), 미완성 파우스트(1790), 파우스트 비극 제1부(1808), 파우스트 비극 제2부(1832)
2.
실존 인물 파우스트. 그레트헨, 혹은 그레첸, 아님 마가레테. 1587년 간행된 <요한 파우스트 박사 이야기>, “괴테 이전에 파우스트 소재를 다룬 대표적인 희곡으로 영국 극작가 크리스토퍼 말로(1564~1593)의 <파우스트 박사의 비극적 이야기>가 있다.”
3.
“우선 조그만 세계를, 다음에 큰 세계를 보도록 하지요.”(2052) 1부와 2부. “1부에서는 파우스트가 메피스토와 계약을 맺고 그레트헨을 만나 사랑을 나누고 비극적 결말에 이르는 과정이 비교적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와 달리 2부에서는 파우스트의 다양한 역할들 간에 유기적 연관성이 적고 스토리의 전개가 단절적으로 끊어지며, 파우스트 자신을 포함한 등장인물이 특정한 시대정신이나 이념을 구현하는 고도의 상징성을 띤다.” “1부가 막의 구분 없이 장면으로 이어지는 반면 2부는 명확하게 구분되는 5막극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이 형식 면에서 가장 두드러진 차이라 할 수 있다.”
4.
학자의 비극(Die Gelehrtentragödie)과 그레트헨의 비극(Die Gretchen-Tragödie). “여보게, 이론이란 모두 회색빛이고, / 푸르른 것은 오직 인생의 황금나무뿐이라네”(2038~2039), “학자 파우스트의 인식 욕구가 한계를 몰랐듯이, 감각적 체험을 탐하는 파우스트의 욕망 역시 충족을 모른다. 파우스트가 그레트헨에게 사랑의 감정을 느끼고, 그녀의 오빠가 파우스트의 칼에 죽고, 처녀의 몸으로 파우스트의 아이를 가진 죄의식에 시달리고, 결국 아이를 죽여서 영아살해범으로 감옥에 갇히는 파국으로 치닫는 상황에서 메피스토는 파우스트는 ‘발푸르기스의 밤’으로 데려간다. 음란한 육욕을 광적으로 발산하는 이 마녀들의 축제는 곧 파우스트의 욕망이 그레트헨의 지순한 사랑의 감정과는 반대로 육욕으로 들끓었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보여주는 장면이자, 그레트헨의 비극적 파멸과 대비되는 장면이기도 하다.”
5.
“세계를 가장 내밀한 곳에서 통괄하는 힘”(382~383), “항상 악을 원하면서도 / 선을 창조하는 힘”(1335~1336), “언제나 부정하는 정신”(1338), 파우스트 제자 바그너의 인조인간 호문쿨루스는 보지만 메피스토는 보지 못하는 ‘환영의 풍경’(6903)
6.
신비의 합창. “일체의 무상한 것은 / 한낱 비유일 따름이다. / 완전치 못한 일들도, /여기서는 실제 사건이 된다. / 형언할 수 없는 것들도, / 여기에서는 이루어진다. / 영원히 여성적인 것이 / 우리를 이끌어가는도다.”(12104~12111)
7.
“독일 낭만주의는 근대의 상황을 분열(Entzweiung) 또는 소외(Entfremdung)라 봅니다. 신과 인간의 분리, 자연과 인간의 분리, 인간과 인간의 분리가 문제라는 것입니다. (중략) 신비적 자연주의 방식에는 범신론이 바탕에 놓여 있습니다. 자연과 우주 안에는 무한한 신이 깃들어 있으므로 인간이 자연과 하나가 된다는 것은 신과 하나가 되는 것, 유한자와 무한자의 통일을 의미합니다. 그런 까닭에 이 신비적 자연주의는 신과 하나가 되는 인간을 추구하는 것을 함축합니다. 이는 한마디로 인간이 된다는 것, 즉 신화(神化)라고 할 수 있습니다.”(350~351쪽)
8.
“성모 마리아를 상징하는 ‘영원히 여성적인 것’이 없다면 <파우스트>는 신비적 자연주의로 끝날 것입니다. 그러므로 <파우스트>는 신비적 자연주의와 가톨릭 전통을 결합한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358쪽)
9.
“인간은 노력하는 한 방황하는 법이니라.”(317) “서곡에서 신은 ‘인간은 노력하는 한 방황한다’고 말하였습니다. 파우스트는 노력하였고 방황하였습니다. 그런데 그것이 그의 구원의 방법이었습니다. 그는 유한한 인간이 할 수 있는 최후의 지점에 이르렀습니다. 인간의 유한함을 철두철미하게 깨닫고 그것의 한계까지 밀어부치면, 그 지점에서 구원의 전망이 열릴 것입니다. 구원 자체만 역설적으로 구원에 이를 수 없습니다. 파우스트는 그것을 보여준 것입니다.”(377쪽)
조성우. 1963. 8월의 크리스마스, 봄날은 간다. “대학동기인 허진호 감독이 꼬드겨 영화음악을 시작 하였다는 것은 충무로에서는 유명한 일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