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chive for August 30th, 2010

August 30, 2010: 11:10 pm: bluemosesErudition

1. 김찬웅(2008)의 <선비의 육아일기를 읽다> 출판 인터뷰

2. “피눈물 나는 성공이 아닐 수 없다. 가문을 박살내고 조카의 시체를 찢어서 들판에 버린 나라를 조금도 원망하지 않은채 손자를 올곧게 키워 또 다시 나라에 바친 할아버지. 도대체 그들을 그렇게 만든 힘은 어디서 나온 것일까. … 이건희 회장의 선친이 만들어둔 삼성의 경영이념에 사업보국(事業報國)이 들어있기는 하다. 그런데 그 노인은 아들 이건희가 떼어먹은 어마어마한 세금이 국가의 부를 거덜 낸 것이며, 따지고 들면 ‘대한민국’의 경계선 안에 살고 있는 이들의 주머니 돈을 털어 간 것임을 모르고 있는 것일까. 그 노인에게 450년 전의 이문건과 비슷한 마음을 심어준 힘은 도대체 어디서 나온 것일까.”

3. 김찬웅(2010). <이병철, 거대한 신화를 꿈꾸다: 삼성 이병철 회장 탄생 100주년 기념작>

: 3:18 am: bluemosesErudition

근본주의는 ‘일반은총에 대한 몰이해’를 자부로 치환한다.

: 3:15 am: bluemosesErudition

John Bunyan(1678/1684). The pilgrim’s progress from this world to that which is to come delivered under similitude of dream.

: 1:46 am: bluemosesErudition

1. “우리가 말씀을 읽으면 변화되는 것이 분명한데 왜 러셀은 변화되기는 커녕 오히려 자신의 성경 지식 때문에 예수를 안 믿게 되었을까요? 그가 알고 있던 그 많은 말씀이 왜 그를 신앙인으로 변화시키지 못했을까요? 참 의아합니다. 제가 그 문제로 고민하다가 마침내 찾은 답이 묵상이었습니다.” _ 유진소(2009). 말씀과 함께 하나님과 함께. 두란노.

2. 다윗과 사울의 차이 역시 묵상의 유무에서 비롯되었다. 육화된 복음만이 외부의 자극에 의해 촉발된 정욕을 통제 가능하기에 “계시 의존 사색”이 없는 자에게 회개를 기대할 수 없다. “박윤선(1905~1988)은 계시 의존 사색이란 말을 자주 사용하였다. 그 말은 그의 변증학의 핵심적인 개념이며 그에게서 배운 이들의 말에 따르면 가장 인상 깊은 말로 남아있다고 한다. 박윤선은 하나님이 오직 계시 의존 사색에 의해서만 사람들에게 알려지신다고 하며, 계시 의존 사색은 다른 것이 아니고 곧 성경적 사색이라고 한다. … 박윤선보다 훨씬 후에 반틸(Cornelius Van Til, 1895~1987)에게서 변증학을 전공한 정승원 교수는 박윤선의 계시 의존 사색은 아마도 반틸이 자주 사용하는 ‘하나님을 따라서 하나님의 사고를 하는 것’이라는 표현을 번역하여 작성한 용어일 것이라고 한다.”(김영재, 2007: 204~205)

: 12:42 am: bluemosesErudition

Lord, nothing is visible at this moment. Lord, you have planted us on this barren and poor land, where not even a single tree can grow tall enough. It is such a miracle that we could come to this land across the wide wide Pacific Ocean. Nothing is visible, though, in this land on which we seem to have been dropped off by your hand.

Only stubbornly stained darkness can be seen. Only Korean people chained with poverty and superstition can be seen. They don’t even know why they are chained, what suffering is. They just distrust us and express anger to us as we tell them how to take away their suffering, which is not suffering to them.

… Yet, Lord! We will obey. We believe that you begin your work as we humbly obey, And that the day will come when our spiritual eyes will see your work, According to your Words, “Faith is being sure of what we hope for and certain of what we do not see.”

We believe that we will see the future of the faith of Korea. Although we are as if standing on a desert with bare hands, Although we are condemned to be Western devils, We believe that the day will come when they will rejoice with tears realizing that they are one with our spirit in Christ, and that we all have one Kingdom and one Father in Heaven.

Although there is no church to worship you, no school to study, Although this land is filled with doubt of suspicion, contempt, and disdain, We believe that in the near future this land will become a land of blessing.

_ Horace Grant Underwood, 1859~19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