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chive for October, 2012

October 10, 2012: 12:02 am: bluemosesErudition

최고의 봉사활동 : 재능기부

October 7, 2012: 9:07 pm: bluemosesErudition

1. 知 : 認知 - 覺醒 - 眞

2. 情 : 情緖 - 涵養 - 美

3. 意 : 欲望 - 體察 - 善 _ 통합과 개별

: 3:11 am: bluemosesErudition

오르한 파묵의 역자 _ “한국외대 터키어과를 졸업하고 터키 국립 이스탄불. 대학(석사)과 앙카라 대학(박사)에서 터키 문학을 전 공했다. 앙카라 대학 한국어문학과에서 5년간 외국 인 교수로 강의했으며, 2012년 현재 한국외대 강사로 있다.”

: 2:42 am: bluemosesErudition

“우리는 이 일이 … 유력한 대통령 후보의 정치적 문제라는 사실을 되새길 필요가 있다. 이런 경우에 중요한 건 내심의 진정성이 아니라 사회적 진정성이다. 박근혜가 사과를 하며 속으론 이를 갈았다 해도 그 사과에 향후 박근혜의 활동이 제한된다면 사과는 사회적 진정성이 있다. … 사회성원들이 박근혜의 사과를 받아냈다는 것, 다시 말해서 한국인의 평균 사회의식이 ‘박정희 독재 비판’까진 왔다는 것. 그리고 앞으로 그 사과가 가질 사회적 진정성이나 가치 역시 사회성원들의 몫이라는 것.” 물론 재차 “박정희 향수가 만연된다면 이 사과는 당연히 없던 게 될 것이다.”(김규항)

* 궁극의 메타노이아는 윤리의 차원에 이른다. 이것이 헤겔 법철학의 의의고, 문제와 대안을 잇는 화목제이다.

: 2:25 am: bluemosesErudition

“우리는 노동해방의 문제를 노동운동의 전투성에만 몰두하고 자족했던 것 같습니다. 변혁이라는 게 물리력만 갖고 되는 게 아니라 전체 사회의 체제나 질서에 대해 고민하면서 함께 풀어나가는 것인데요. 가장 전투적으로 싸워서 임금과 단체협약을 잘 따내면 잘한 투쟁이라 했던 게 굳어져버린 거죠. 그 운동의 성원 중 한 사람으로서 현재 청년들이나 젊은 노동자들에게 많이 미안하고 아픕니다.”

무지개 사회주의는 “제 스스로 변화하고 혁신하려는 의지를 표현한 말인데요. 세상은 다양한 생각과 사고방식과 삶의 양식이 어우러진 상태인데 내가 몸담았던 노동운동·좌파운동이 너무나 경직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결국 이중화하는 현상을 보여왔습니다. 집회장이나 언어나 글로선 아주 단선적으로 세상을 재단해버리면서 자기 삶에선 자본주의적인 삶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는 거죠. 아파트 평수를 넓히고, 아이를 더 좋은 학원에 보내서 시장경쟁력을 올리고 주식이나 부동산에 몰두하고. 이런 이중성이 통일이 되려면 우리가 무지개처럼 펼쳐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경직성이 이중성을 만들어냅니다. 경직성은 집회나 시위의 형식에서도 나타나죠. 노동운동의 집회나 시위는 그 주력인 대공장 노동자들에게 맞추어져 상명하달식의 군대식 대오가 중심이었죠. 문화 부분은 부차화되어 그 대오에 복무하는 식이고요. 그런데 노동자들의 삶 전체가 그렇진 않거든요. 삶의 총체성을 담기 어려운 운동이 이중적 모습을 띠는 건 자연스러운 일이고요.”

: 1:38 am: bluemosesErudition

거리를 두는 이유 … 미숙하기 때문이다. 마음의 통제가 빈약하니 괴롭지 않겠는가.

October 6, 2012: 11:22 pm: bluemosesErudition

창조적 기여의 한 방편으로서 “문제해결능력을 배양하는 것에 프로그래밍 언어만한 것이 없다.”

: 7:04 pm: bluemosesErudition

θέωσις, theosis, deification _ 12, 18, 21~23, 33강

: 6:57 pm: bluemosesErudition

고대, 중세, 근대의 성화 기술방식

: 6:54 pm: bluemosesErudition

“6장은 1820년부터 1920년까지의 약 100년 동안 기술사의 주역인 발명가, 기업가, 엔지니어가 어떤 활동을 전개해 왔는지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여기서 코완은 유명한 기술사학자인 토머스 휴즈가 제안했던 ‘기술 시스템(technological system)’이란 개념을 적극 활용하고 있는데, 코완(Ruth Schwartz Cowan)은 기술 시스템이 ‘인공물과 조직으로 이루어진 네트워크’라고 간단명료하게 정의하고 있다. 코완에 따르면, ‘발명가들이 인공물을 발명했고, 기업가들이 조직을 만들어냈다면, 엔지니어들은 시스템을 건설했다.’ 이 장이 집단 전기(collective biography)라는 독특한 형식을 채택하고 있다는 점도 눈여겨 볼 만하다.”

“스토브의 등장을 매개로 가사 노동이 어떻게 변모했는가를 분석한 사례가 흥미로운데, 코완의 또 다른 책 <엄마에게 더 많은 일을(More Work for Mother)>에서 논의한 세탁기의 사례가 추가로 논의되었으면 어떨까 하는 생각도 해 본다. … 멜빈 크란츠버그가 적절히 지적했듯이, 모든 역사가 오늘날의 사회와 상관성이 있지만 기술의 역사는 가장 상관성이 큰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