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chive for November 6th, 2014

November 6, 2014: 1:22 pm: bluemosesErudition

“신체의 변용들인 동시에 그 변용들의 관념들”

(Conatus ▶) Actio / Passio (◀ Potestas)

: 1:16 pm: bluemosesErudition

“각각의 사물이 갖고 있는 자기 보존의 힘을 심리학적으로 달리 표현한 것이 바로 욕망이다. 좀 더 정확히 말해 자기 보존의 힘이 인간의 신체와 정신 모두에 관계될 때 ‘욕구appetitus’라고 부르고, 이런 욕구에 대한 의식을 ‘욕망cupiditas’이라고 부른다.”(조현진)

: 12:36 pm: bluemosesErudition

분명히 보이지는 않으나 뚜렷하게 예감되는 위기, “이 책의 제10장 원제목이 ‘On Looming Crisis’인데 여기서 허먼 멜빌의 <<모비딕>> 제1장인 ‘어렴풋이 보이는 것들’(Loomings)을 떠올린 사람은 이 책을 덮어놓고 멜빌로 가도 괜찮다.”

: 12:25 pm: bluemosesErudition

“원제(Power in the 21st Century: Conversations with John Hall)의 의미가 ‘21세기의 권력’쯤일 이 책은 우리가 살고 있는 시간과 공간, 즉 21세기의 세계(한반도 포함)를 이해하기 위한 기초 범주(와 그것의 형성사)를 간명하게 잘 정리한 것이다 — 이런 식으로 한 권의 책을 한 마디로 규정하는 것이 거친 일반화일 수도 있으나 책을 한 번 읽으면 일단은 이러한 규정에 이르러야 한다. 그런 다음 다시 읽어서 자신의 이전 규정을 바꾸어 나가려 하면 더 세심한 독서가 필요할 것이며, 그러한 과정에서 독서의 힘이 강해질 것이다.” “독서의 시작은 본문에 들어가기 앞서 표지와 차례를 촘촘하게 살펴보는 것부터이다. 이 책을 가지고 그것을 한번 해보자.”

“책의 저자가 2명인데, 정확하게는 존 홀이 묻고 마이클 만이 대답하는 형식이다. … 책의 어떤 부분이 누구의 견해인지를 딱 잘라내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이 책의 내용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조심할 필요가 있다. 이 책을 읽은 다음에는 마이클 만과 존 홀의 다른 책들을 읽어서 보완을 해야만 하는 것이다.” “표지에 담긴 것들을 좀 더 살펴보자. 책에 관한 정보를 처음 전해주는 것이니 표지는 중요하다. 맨 위에 원제가 적혀있고, 그 아래에 한국어 판 제목이 적혀있다. 한국어 판 제목이 책 내용을 충실하게 전달하고 있는지는 아직 알 수 없다. ‘사라진 권력 살아날 권력’이라는 제목은 ‘권력’을 강조하고 있으니 권력의 흥망성쇠를 부각시키고자 한 것이 아닌가 짐작할 뿐이다. 내 생각에는 원제에 들어있는 “21세기”가 더 중요한 듯도 싶다. 우리가 이미 들어선 21세기에는 세계 정세의 변화가 어떤 방식으로 전개될 지가 이 책에서의 중점으로 여겨지기 때문이다. 표지 한 가운데 왕이나 종교계의 고급 성직자가 앉을만한 의자가 놓여있다. 이것은 ‘사라진 권력’의 상징으로 이해되기 쉽다. 원제의 표지는 파란 하늘 왼쪽에 ‘무인 비행기’로 짐작되는 것이 날아가고 있다. 이는 ‘21세기의 권력’을 상징적으로 드러내려는 시도로 보인다.”

“차례를 살펴보자. 책을 읽을 때 차례를 무심히 넘기지 않고 어떤 내용이 담겨있는지, 어디부터 읽을 것인지 등을 따져보면 책읽기가 훨씬 수월하다. 책을 쓰는 이의 입장에서 생각해보면 이를 또렷하게 알 수 있다. 이 책은 대담이므로 저자들의 대화를 편집한 것이고 그에따라 차례가 구성된 방식이 좀 다르기는 하겠지만. 일반적으로 저자는 책을 쓸 때 가목차를 적어두고 그에 따라 본문을 쓴 다음에 처음 쓰기 시작할 때 작성한 차례를 다시 다듬는다. 차례는 출발점이면서 동시에 종결점이다. 따라서 차례가 확정되는 것은 맨 나중이다. 서문도 마찬가지다. 차례의 제목들과 서문만 가지고도 책 전체 내용을 집약해서 설명할 수 있는 것이다.”

“이 책은 서문과 결론을 제외하면 모두 10개 장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원저와 비교해보면 한국어 판에는 빠진게 있다. 원저는 “Part One: Powers in Motions” 아래에 1장부터 5장이, “Part Two: The Nature of Social Change”아래에 6장부터 10장이 배치되어 있다. 다시 말해서 1부는 ‘(넓은 의미의) 권력의 변동’을 다루고 있고, 2부는 권력의 변동에 따른 사회변화의 본질을 다루고 있다. 따라서 1부가 사회변화의 원인이 되는 권력 요소들, 즉 “경제권력”(1장), “군사력”(2장), “정치권력”(3장), “이데올로기”(4장) 등과 같은 여러 형태의 권력들의 변동과 새롭게 등장하고 있는 “또 다른 방식의 권력”(5장)을 역사적으로 검토하고 있다면, 그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2부는 “강대국과 약소국”(6장), ‘집단 행위자’(7장), 변화의 귀결(8장), 비상사태(9장), 분명히 보이지는 않으나 뚜렷하게 예감되는 위기(10장)를 논의하고 있다하겠다.”

“차례분석을 끝낸 다음 어디부터 읽어나갈지는 독자가 결정하면 된다. 다만 읽어나가는 동안 잘 알지 못하는 부분이 나오면 좌절하여 책을 팽개치지 말고, 독서를 중단하고 이것저것 검색하다가 끝도 없는 정보의 바다에서 헤매지 말고, 일단 다음 부분으로 넘어가자. 도대체 모르겠으면 권력에 관한 기본서라 할 러셀의 <<권력>>을 먼저 읽고 다시 도전해보자.”

_ 강유원, 2014. 11. 5.

: 12:19 pm: bluemosesErudition

“전쟁을 전후한 시기에 전쟁에 얽혀든 각 나라의 내부 사정, 그 나라들을 둘러싼 국제정세(또는 적어도 일본을 포함하는 동남아시아 정세와 명·조선의 관계)까지 좀 살펴보면 그 전쟁에서 300년쯤 후인 1900년 무렵의 사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터인데 거기까지는 좀처럼 나아가지 못한다.”

: 12:06 pm: bluemosesErudition

“신학의 대상은 예수 그리스도, 다시 말해 하나님과 인간 사이의 계약 성취의 역사다. 이 역사 안에서는 일회적으로, 영원히 유일회적으로 모든 능가하는 것들을 비웃으며 다음이 발생했다. 크신 하나님께서 자신에게 근원적으로 고유한 자유 안에서 작은 인간의 하나님이 되시기까지 내려오시고 낮아지셨으며, 작은 인간은 하나님께서 주신 자유 안에서 크신 하나님의 인간이 되기까지 자신을 버려 헌신하셨다. 신학적 인식의 대상은 바로 이러한 계약의 사건이다. 그 안에서 인간을 하나님과 그리고 하나님을 인간과 결합시키는 완전한 사랑이 발생했다. … 그것은 인간을 향한 하나님의 근원적 자유이며, 동시에 인간에게 선사된 하나님을 향한 인간의 자유다. 또 그 사랑은 위에서 아래로 내려왔지만, 그 내려오는 권능 안에서 다시 아래에서 위로 상승하는 아가페이며, 양자 아니 그 하나는 동일한 주권성 안에 있다.”

_ 칼 바르트, <<개신교신학 입문>>, pp. 216-217.
Karl Barth, Einführung in die evangelische Theologie(1970)

: 11:58 am: bluemosesErudition

Proverbs 15:31-32 ESV

The ear that listens to life-giving reproof will dwell among the wise. Whoever ignores instruction despises himself, but he who listens to reproof gains intellig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