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tion to the Philosophy of Education
眞, 善, 美: 1) 진리와 인식, 2) 형이상학과 존재론, 3) 가치A: 도덕과 윤리 4) 가치B: 미와 예술
Introduction to the Philosophy of Education
眞, 善, 美: 1) 진리와 인식, 2) 형이상학과 존재론, 3) 가치A: 도덕과 윤리 4) 가치B: 미와 예술
“The full index of articles published in NLR since its foundation, arranged by author and subject, with a listing of all books reviewed. Accompanied by a brief history of the journal and a concordance.” _ New Left Review: Index of Articles and Authors, 1960~2010
1. 마음의 체제는 윤리적 습관의 산물이다: 영적 세계 - 성향 - (자아) - 기질 - 육적 환경.
2. 철학은 진단이고, 교육은 처방이다.
3. 교육과 사회의 접합은 ‘학습’으로 귀결된다.
4. 학습과 훈련의 주체와 객체는 상반된다.
5. 개발은 [기대되는 변화를 야기하는] [계획된] 학습[(활동)의 조직화]이다.
6. 개인개발(leadership), 경력개발(leadership = Followship), 조직개발(mechanism [shift])
7. 교육은 학습을 통제하고 추동하는 메커니즘이다.
“전통에 따라 [7차에 걸쳐] 왕이 통치해 오던 로마는 BC 509년 공화정으로 체제를 변화시킨다. 정치 수반은 집정관들로, 해마다 시민들이 선출했다.” “왕정이 몰락하여 공화정으로 이행하는 과정은 로마사 연구의 주요 쟁점이다. 고대 전승에서는 마지막 왕 타르퀴니우스 수페르부스가 전제적인 통치를 일삼고, 그의 아들이 다른 남자의 정숙한 아내 루크레티아를 겁탈하여, 수치심에 루크레티아가 자결하자 폭력 혁명이 일어나 왕조가 무너지고, 공화정이 수립되었다고 전한다.”
작금의 이론적 교착상태는 이상을 향한 헌신의 결여에서 비롯되었다고 믿는다. 재기발랄한 글은 어느덧 사그라든다. 살아가는 목적과 공부하는 이유가 일치하는, 독자적 문제의식에 천착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