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chive for January, 2010

January 23, 2010: 7:26 pm: bluemosesErudition

모세를 기억하자. 내게 진정 ‘믿음’이 있는가(출4:13). 나는 진정 ‘낮은’ 아니 ‘온유한’ 자인가(민12:3). “네 하나님 여호와께서 이 사십 년 동안에 네게 광야 길을 걷게 하신 것을 기억하라. 이는 너를 낮추시며 너를 시험하사 네 마음이 어떠한지 그 명령을 지키는지 지키지 않는지 알려 하심이라. 너를 낮추시며 너를 주리게 하시며 또 너도 알지 못하며 네 조상들도 알지 못하던 만나를 네게 먹이신 것은 사람이 떡으로만 사는 것이 아니요, 여호와의 입에서 나오는 모든 말씀으로 사는 줄을 네가 알게 하려 하심이니라.”(신8:2~3)

: 4:32 am: bluemosesErudition

1. 광야학교가 개강했다. 여태껏 광야학교의 여정이 ‘자아의 경건’을 중시했다면, 지금부터는 ‘공동체 영성’에 초점을 맞춘다. 이번 수료 과제는 존재 자체로서의 안전감과 중요감, 즉 ‘자존감’의 체화이다. 자아에서 은송림으로 “마음의 레짐”(The Regime of Heart)을 변혁하지 못한다면, 다음의 두 가지 이유로 유급이다: 1)있는 모습 그대로 타인을 존중할 수 없고, 2)결여가 충족될 때까지 타인을 섬길 수 없다. 그렇다. 나는 교만한 짐승이었다.

2. “베이트슨은 이 대조를 꼭대기가 있는 산과 높고도 평평한 고원(高原)의 비유를 들어 분명히 했다. ‘아이가 발리의 삶에 보다 충만하게 적응함에 따라, 연속적인 강렬함의 고원이 꼭짓점(절정)을 대체한다.’ 그러니까 발리의 문화양식은 마음과 신체가 고원 상태를 형성하도록 습관을 유도한다는 것이다. 즐거움이 짧게 왔다 허무하게 사라지는 ‘쾌감’이 아니라 길고 강렬하게 유지되는 ‘쾌활함’이 될 수 있도록 말이다. 이것은 외부의 쾌락적 자극을 장시간 유지시킨다는 말이 결코 아니다. 습관을 통해 마음과 신체의 경향 자체를 변화시키고 그에 맞게 환경을 새롭게 변화시킨다는 뜻이다. 들뢰즈와 가타리는 자신들의 주저 <천 개의 고원>의 제목을 여기에서 가져왔다. … 베이트슨은 자신의 책 제목을 <마음의 생태학을 향하여(Steps to an Ecology of Mind)>라고 붙였다. 이 제목은 흥미롭다. 생태학은 원래 생물과 환경의 상호관계를 다루는 학문인데, 인간의 마음에 그 문제를 제기하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마음의 생태학’을 이렇게도 이해할 수 있다.”

January 22, 2010: 7:41 pm: bluemosesErudition

김기원은 “창비주간비평”(10/01/20)에서 다음과 같이 적었다. “진보세력은 ‘랄프 네이더’의 교훈을 되새겨야 한다. 그는 2000년 미국 대선에서 민주당이나 공화당이나 ‘그놈이 그놈’이라며 선거를 끌고 나가 부시의 당선에 한몫했다. … 진보세력은 민주당을 한나라당과 한통속으로 몰아붙이면 자기 지지기반이 확대되는 걸로 생각한다. 천만의 말씀이다. 많은 국민들 보기엔 민주당이나 진보파나 모두 한나라당 반대쪽에 있다.” “랄프 네이더가 존 케리에게 했듯이 상대편이 받기 힘든 요구를 연대의 전제로 삼는 건 ‘판 깨기’의 알리바이 만들기에 지나지 않는다.” “2002년 대선 당시 권영길 후보 말대로 한나라당과 민주당의 차이는 샛강이고, 민주당과 진보정당들의 차이는 한강이라 치더라도 그 샛강만큼의 차이도 민중의 삶에는 중요하다. 이를 무시하는 건 세속을 초탈한 도인의 자세거나 마천루 빌딩 위에서 시내 교통정리를 하려는 행태다.”

김기원은 자신이 선거공학 때문이 아니라 정치변혁의 새로운 기회 구조를 창출하기 위해 민주세력의 연대를 지지한다고 밝혔다. 처칠 수상의 변(辨)이 떠오른다. 그는 노동당에서 보수당으로 당적을 옮기며 다음과 같은 명언을 남겼다. “20대에 자유주의자가 아니면 가슴이 없고, 40대에 보수주의자가 아니면 정신이 없는 것이다.” 우경화의 뒷물결이 앞물결을 밀어낸지 오래인데, 아직도 앞물결의 개혁을 호소하는 이들이 있다. 그렇다. 그들은 ‘변명’ 대신 ‘주장’을 하고 있는 것이다. 체제를 구획한 이들과 그것을 개혁할 이들이 마치 상이한 것처럼 기만하면서. 혹시 ‘래디컬이 능사는 아니’라는 말을 하고 싶었던 걸까?

덧붙여, 김기원은 최장집을 비판한다. “아직도 최장집 교수처럼 이명박 정권이 보수지만 민주주의라는 납득하기 힘든 주장을 하는 경우가 있기는 하다. 정권을 비판할 언론의 자유마저 심각하게 훼손당하고 있는데도 민주주의라 할 수 있을까. 최 교수가 노무현 정권을 사이비 민주주의라고 비판했던 걸 생각해보면 그의 민주주의 개념은 도대체 일관성도 없다. 지금이 군사독재 상태는 아니지만 민주주의를 후퇴시키고 독재로 향하려는 그 ‘방향성’을 부정해서는 곤란하다.”

그러나 이것은 사실과 다르다. 최장집은 <어떤 민주주의>에서 다음과 같이 말한 바 있다. “절차적 민주주의가 완성되었다는 말은 곧 이상적 민주주의가 실현됐다는 말과 같다. … 절차적 민주주의는 잘 되었으니까 이제 실질적 민주주의를 하자는 주장도 많이 보게 된다. 이런 이분법적 개념이 민주주의 발전 단계론처럼 활용되는 것을 보게 되면서 절차적 민주주의에 대한 오해를 교정할 필요를 많이 느끼게 됐다. 절차적 민주주의 단계가 성취됐으니 실질적 민주주의로 나가야 한다든가 하는 것은 민주주의의 개념을 정확히 이해하고 말한다고 보기 어렵다.”(21쪽) 최장집은 시종일관 절차적 민주주의를 역설하였지, 실질적 민주주의 내지 이념적 민주주의를 옹호하지 않았다. 다시 말해, 최장집은 [정치공학자로서] 시스템의 완성을 지향하였던 것이다. 최장집이 “이명박 정권이 보수지만 민주주의”라고 하였던 것은 그의 입론에서 비롯되었으며, 이에 따르면 역으로 김기원은 “민주주의의 개념을 정확히 이해하고 말한다고 보기 어렵다.” 김기원이 자의적으로 정리한 ‘이념좌표의 가로축: 진보-보수’, ‘이념좌표의 세로축: 개혁-수구’는 여기에 대한 방증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6:11 pm: bluemosesErudition

권위가 상실된 시대의 특징은 ‘모든 것이 정통하기에 정통한 것이 없다’는 과도한 해석의 만연이다. ‘구성주의’ 혹은 ‘구조주의적 해석학’, 푸코는 바로 이것과 싸웠다.

: 5:40 pm: bluemosesErudition

1. 제한된 시공간에서 거대 서사를 구축하는 방법은 [보편적 공감이라는] 서정성에 사회성을 담는 것이다. 송선호 연출은 미시적 무대에서 거시적 세계를 재현하고자 객석의 참여를 동원함으로써 연출의 의도를 배우의 연기에 실어 관객의 심상으로 옮겨 놓는다. 무대와 객석의 합일, 이것을 일컬어 우리는 ‘극장의 장악’이라고 할 수 있다.

2. 어떻게 이것이 가능할 수 있었을까? 송선호 연출의 희곡은, “희곡 언어의 육화”를 염두에 두고 창작되었기에 극 공연의 ‘내용과 형식’이 상응한다. 역사에 관한 3가지 관점은 3명의 등장인물에 투영되어, 극의 전개 가운데 희곡의 지향을 시나브로 - 리얼리즘을 보존하면서 - 다음과 같이 집약해간다: 인간은 각자의 입각점에 따라 사실을 조합한다, 고로 “진실은 개별적인 것이다.”

3. You don’t understand는 연극의 유한한 강점을 나지막이 들려주는 우리시대의 모범답안이다.

: 5:03 pm: bluemosesErudition

기록은 안하고 기억에 의존하면, 역사는 소실되고 추억만 남는다.

January 21, 2010: 8:48 pm: bluemosesErudition

24차 한겨레 시민 포럼: 밖에서 안으로 ‘체제의 정신’ 육화

발제) 김규항: 우리 안의 이명박(내면의 지향) - “제가 ‘우리 안의 이명박’이라는 말을 하기 시작한 게 촛불시위 즈음부터였습니다.” “촛불을 들고 소리높여 쥐박이를 욕하다 자정께 되어 휴대폰으로 아이가 학원에 다녀왔는지 확인하는 모습이 아이들에게서 희망을 발견한 건가요?” 

토론) 김종엽: 우리 밖의 이명박(외부의 체제) - “굴종에 대한 합리화”를 적극적 “지지”라고 볼 수 없습니다. “기회 구조”가 변경되면, “선호”는 변화합니다.

: 8:29 pm: bluemosesErudition

1. 기본 입문서: 김성묵(2003). <그 남자가 원하는 여자, 그 여자가 원하는 남자>, 김영사.

2. 선천성 이해: Tim LaHaye(2004). <성령과 기질>, 홍종락 옮김, 생명의말씀사.

3. 선천성 이해: 이창일(2003). <사상의학: 몸의 철학 마음의 건강>, 책세상.

4. 후천성 이해: 김진(2006). <그리스도인은 인간을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가>, 생명의말씀사.

5. 후천성 이해: 김진(2006). <그리스도인과 함께 나누고 싶은 이야기>, 생명의말씀사.

6. 연합의 구축: Lawrence Crabb(2001). <결혼 건축가>, 윤종석 옮김, 두란노.

7. 연합의 구축: Gary Chapman(2008). <5가지 사랑의 언어>, 장동숙 옮김, 생명의말씀사.

8. 연합의 구축: M. Scott Peck(2007). <아직도 가야 할 길>, 신승철 옮김, 열음사.

: 4:25 pm: bluemosesErudition

“내가 다시 한 번 말하지만, 스스로에게 자신 없는 논문은 자진해서 철회하여야 할 겁니다.”

: 1:36 pm: bluemosesErudition

졸고를 제출했다. 공부를 시작하자. “Stay hungry, Stay fooli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