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 / 2006~2009 / 2010~2013 / 2014
“군주제는 1792년 9월 21일 국민공회에 의해 폐지됐으며, 그 결과 프랑스 제1공화정이 시작되었습니다. 정권을 잡은 국민공회는 그레고리우스력 - 이것은 로마 교황이 만든 관습으로 간주되었습니다 - 을 폐지하고 추분이 인류의 평등을 상징한다고 여겨 이 날로 시작하는 새로운 달력을 만들었습니다. 십진법을 기준으로 한 이 프랑스혁명력은 한 달을 30일로 정하고 1년마다 남는 닷새를 연말에 배치해 축제 기간으로 정했습니다. 각 달의 이름은 계절의 특징을 따라 지었는데 브뤼메르Brumaire는 안개, 테르미도르Thermidor는 열, 즉 태양의 계절을 의미합니다.”
“‘혁명의 10년은 1789년 5월 삼부회 소집부터 1799년 11월 9일(브뤼메르 18일) 나폴레옹의 군사 쿠데타까지를 말합니다. … 삼부회는 귀족(제1계급), 성직자(제2계급), 평민(제3계급)으로 구성되었습니다.” “‘혁명의 10년’은 1794년 7월 27일(테르미도르 9일)을 기준으로 둘로 나눌 수 있습니다. 1792년 8월 10일 파리에서 일어난 튈르리 궁전 습격부터 로베스피에르(1758~1794)가 처형당한 이 날까지를 ‘혁명력 2년’이라고 부릅니다. 로베스피에르의 처형은 프랑스혁명에서 한 획을 그은 사건이므로, ‘혁명력 2년의 로베스피에르’는 급진적인 혁명 지도자가 이끄는 중대한 혁명적 시도가 급격하게 좌절된 사건을 가리킬 경우에 쓸 수 있습니다. ‘혁명력 2년’은 산악파(자코뱅 파)와 상퀼로트(과격 공화파)가 결합하여 근대 역사에서 가장 급진적인 인민 중심의 통치가 이루어진 시기였고 그것을 이끈 핵심 인물이 로베스피에르였습니다. 1794년을 기준으로 전반부 5년 동안 입헌군주정, 온건 공화정, 민중 공화정 순으로 체제가 세 번 바뀌었고, 후반부 5년 동안에도 보수 공화정과 제정으로 두 번 바뀌었습니다.”
“프랑스혁명하면 떠오르는 마라, 당통, 로베스피에르는 모두 제3계급에 속하는 사람들이었습니다. 그런데 제3계급은 혁명의 와중에 분열했고, 제1공화정(민중 공화정)은 자코뱅 파 안의 한 분파인 산악파와 제4계급이 결합해서 성립했습니다. 이전 체제인 온건 공화정이 자유주의 혁명 단계였다면 민중 공화정은 사회민주주의적인 전망을 열었습니다. 제4계급은 흔히 상퀼로트Sans-culotte로 불렸는데, 이 말은 ‘퀼로트를 입지 않은 사람’이라는 뜻입니다. 당시 프랑스에서는 돈 있는 사람은 퀼로트(짧은 바지), 돈 없는 사람은 긴 바지를 입었던 것에서 유래한 말입니다.”
“18세기 후반에 프랑스 인구는 2천600만이었고 잉글랜드 인구는 900만이었습니다. 과학이 더 발전한 나라도 프랑스였습니다. 그런데 프랑스보다 잉글랜드에서 먼저 산업자본주의가 발전했습니다. 자유로운 노동자의 공급이 잉글랜드에서 먼저 이루어졌기 때문입니다. 자유로운 노동자가 생겨나려면 잉글랜드의 경우에서 볼 수 있듯이 먼저 농업혁명이 일어나야 합니다. ‘혁명’이라는 이름으로 불리지만 사실 이 과정은 농민을 땅으로부터 떼어 내 부랑자로 만든 다음, 도시로 몰아넣는 폭력적인 과정입니다. … 18세기 잉글랜드에서 살던 지주는 4천 명, 차지농은 24만 명, 농업 노동자는 125만 명이었는데, 여기에 속하지 않은 사람들은 농촌을 떠돌다가 도시의 공장으로 들어갔습니다.”(316~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