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지도> 1. 문학 - 서울大 불문과출신 文人들 “첨단이론과 정치한 분석, 섬세하고 세련된 문체, 실험적 기법으로 무장된 소수 정예의 문학 엘리트”(중앙일보, 1996/01/16)
<문화지도> 1. 문학 - 서울大 불문과출신 文人들 “첨단이론과 정치한 분석, 섬세하고 세련된 문체, 실험적 기법으로 무장된 소수 정예의 문학 엘리트”(중앙일보, 1996/01/16)
문학과지성사 40년사에 걸쳐 비평과 출판 활동의 근간이자 구심적 역할을 해온 계간지 『문학과지성』(1970년 가을~1980년 여름)에서 『문학과사회』(1988년 봄~2016년 현재)로 이어지는 5세대 편집동인의 면모는 다음과 같다:
강동호 문학평론가. 1984년생. 연세대 국문과 대학원 박사과정 졸업. 제5회 대산대학문학상 평론 부문 수상 및 2009년 조선일보 신춘문예 평론 부문 당선.
금정연 서평가. 1981년생. 한양대 국문과 졸업. 인터넷서점 알라딘에서 인문 분야 MD로 재직. 지은 책으로 『서서비행』 『난폭한 독서』 등이 있음.
김신식 독립연구가. 1982년생. 성공회대에서 신문방송학을, 연세대 커뮤니케이션 대학원에서 영상이론을 전공. 2008년 『당비의 생각』(舊 『당대비평』)을 통해 비평, 출판활동을 시작. 현재 학문제도권 바깥에서의 감정사회학 연구 진행 중.
이경진 문학평론가. 1982년생. 서울대 독문과 졸업 및 동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독일 본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음. 2008년 창비 신인상 평론 부문 당선. 옮긴 책으로 W. G. 제발트의『공중전과 문학』과 G. 아감벤의 『도래하는 공동체』가 있음.
조연정 문학평론가. 1977년생. 서울대 국문과 및 동대학원 박사과정 졸업. 2006년 서울신문 신춘문예 평론 부문 당선. 비평집으로 『만짐의 시간』이 있음.
조효원 문학평론가, 번역가. 1981년생. 성균관대 독문과와 동대학원 석사과정 및 서울대 독문과 박사과정 수료. 현재 미국 뉴욕 대학(NYU) 독문과 박사과정에 재학 중. 2008년 세계일보 신춘문예 평론 부문 당선. 지은 책으로 『부서진 이름(들)』 『다음 책』 등이, 옮긴 책으로 G. 아감벤의 『유아기와 역사』 『빌라도와 예수』, 야콥 타우베스의 『바울의 정치신학』, 대니얼 헬러-로즌의 『에코랄리아스』 등이 있음.
Now when Sanballat and Tobiah and Geshem the Arab and the rest of our enemies heard that I had built the wall and that there was no breach left in it (although up to that time I had not set up the doors in the gates), Sanballat and Geshem sent to me, saying, “Come and let us meet together at Hakkephirim in the plain of Ono.” But they intended to do me harm. And I sent messengers to them, saying, “I am doing a great work and I cannot come down. Why should the work stop while I leave it and come down to you?” And they sent to me four times in this way, and I answered them in the same manner. In the same way Sanballat for the fifth time sent his servant to me with an open letter in his hand. In it was written, “It is reported among the nations, and Geshem also says it, that you and the Jews intend to rebel; that is why you are building the wall. And according to these reports you wish to become their king. And you have also set up prophets to proclaim concerning you in Jerusalem, ‘There is a king in Judah.’ And now the king will hear of these reports. So now come and let us take counsel together.” Then I sent to him, saying, “No such things as you say have been done, for you are inventing them out of your own mind.” For they all wanted to frighten us, thinking, “Their hands will drop from the work, and it will not be done.” But now, O God, strengthen my hands. Now when I went into the house of Shemaiah the son of Delaiah, son of Mehetabel, who was confined to his home, he said, “Let us meet together in the house of God, within the temple. Let us close the doors of the temple, for they are coming to kill you. They are coming to kill you by night.” But I said, “Should such a man as I run away? And what man such as I could go into the temple and live? I will not go in.” And I understood and saw that God had not sent him, but he had pronounced the prophecy against me because Tobiah and Sanballat had hired him. For this purpose he was hired, that I should be afraid and act in this way and sin, and so they could give me a bad name in order to taunt me. Remember Tobiah and Sanballat, O my God, according to these things that they did, and also the prophetess Noadiah and the rest of the prophets who wanted to make me afraid. So the wall was finished on the twenty-fifth day of the month Elul, in fifty-two days. And when all our enemies heard of it, all the nations around us were afraid and fell greatly in their own esteem, for they perceived that this work had been accomplished with the help of our God.(Nehemiah 6:1-16)
“As you do not know the way the spirit comes to the bones in the womb of a woman with child, so you do not know the work of God who makes everything.”(Ecclesiastes 11:5)
Q: 만약 보건복지부 장관이 된다면요.
A: “초·중·고교에 장애인에 대한 편견을 없애는 강좌를 1순위로 개설하고 싶어요. 미디어에도 장애인이 훨씬 많이 나와야 한다고 봅니다. 사람들도 저를 TV로 보고 익숙해졌잖아요. 저와 비슷하게 생긴 사람들이 편안하게 살아갔으면 하는 뜻에서 TV에 나가고, 인터뷰도 자주 했습니다. 일단 호기심이 사라지면 장애인을 두 번 쳐다볼 일이 없거든요. 우리 모두 마라톤 러닝 메이트처럼 함께 뛰는 세상을 소망합니다.”
Q: 박사 논문 주제를 소개한다면요.
A: “장애인을 접하고 난 뒤의 일반인 인식변화입니다. 미국 밀알선교단에서 운영하는 사랑의 캠프 참가자를 연구했어요. 2박3일간 장애인과 비장애 봉사자가 일대일 짝을 이뤄 함께 먹고, 자고, 노는 프로그램입니다. 캠프 전후를 비교했는데 비장애인도 장애인을 더는 ‘불편한 사람’이 아닌 친구로 받아들이게 됐어요. 230여 명의 응답을 분석했는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습니다.”
Q: 석사 과정은 재활상담 아니었나요.
A: “사고로 3급장애 판정을 받은 뒤 장애인을 위해 살아야겠다고 결심했습니다. 가족과 지인의 도움으로 일어설 수 있었잖아요. 그 모든 게 상담이었죠. 2008년 보스턴대에서 재활상담 석사를 받았습니다. 그런데 미국은 재활 인프라가 잘 갖춰진 곳입니다. 한국과 사정이 많이 다르죠. 한 사람을 변화시키는 것도 의미 있지만 그보다 좀 더 큰 그림에 관심을 갖게 됐습니다. 뉴욕 컬럼비아대 사회복지 석사 과정을 다시 마쳤어요.”
“가스통 바슐라르는 ‘촛불은 고고하게 타며, 그 주홍빛은 불끈 일어선다’는 게오르그 트라클의 시구를 빌려, 고독한 사람의 책상은 수직성에 대한 모든 몽상을 준비한다고 말합니다. … 밝음은 사물을 납작하게 만듭니다. 밝음 속에서는 사물의 신비도 영혼의 깊이도 드러나기 어렵습니다. 낮은 한 개의 눈을 가지고 있지만 밤은 천 개의 눈을 가지고 있다는 서양 속담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