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yond A.I. Machine-Deep-learning
1. 콘텍스트 기반 텍스트 판독
2. 문제해결 너머 문제발견 역량 평가
Beyond A.I. Machine-Deep-learning
1. 콘텍스트 기반 텍스트 판독
2. 문제해결 너머 문제발견 역량 평가
1시간 후 절반의 확률로 상자 안의 고양이가 생사의 갈림길에 선다. 당신은 그 상황을 전혀 볼 수 없다. 슈뢰딩거의 고양이는 어찌 되었을까?
“P300은 의사결정과 연관된 뇌파로, 목표물을 포착했을 때 약 300 밀리 초 이후 두정엽에서 발생하는 피크를 의미한다. 이 뇌파는 예측 불가한 상황에서만 무의식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특수한 형태의 실험 장치가 필요하다. 피험자에게 여러 선택지를 무작위로 보여주면 원하는 목표가 나타났을 때 P300 뇌파가 생성된다. 컴퓨터는 이 신호를 검출해 사용자가 원하는 바가 무엇인지 파악한다.”
일본의 3대 요비코豫備校 “학생의 순다이駿台, 강사의 요요기제미나르代々木ゼミナール, 책상의 가와이주쿠河合塾”, 요요기 제미나르가 교사(校舍) 29곳 중 22곳을 2015년 봄에 폐쇄하였다. 저출산과 낭인의 감소, 국공립 이공계열 강세가 그 원인이다.
R. S. 피터즈가 교육의 개념을 나타내는 데에 사용한 initiation이라는 단어는 일반적으로 한 활동의 ‘문턱에 들어서는 것’ 또는 ‘입문’을 뜻한다. 그러나 그 단어는 또한 ‘성년식’(initiation ceremony 또는 rîte de passage)이라는 의식(儀式)을 의미하기도 한다. 그리하여 ‘education as initiation’이라는 표현은 또한 ‘입문으로서의 교육’이라고 번역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피터즈 자신도 말하고 있듯이(Ethics and Education, p.55 · 285), 교육의 의미를 비유적으로 표현하는 initiation이라는 단어는 단순한 ‘입문’ 이상으로 의식(儀式)의 의미를 강하게 풍긴다. 독일 사람들은 피터즈의 이 아이디어를 나타내는 말로 Mündigkeit라는 단어를 사용하는 모양인데, 이 독일어 단어는 initiation이라는 영어 단어보다는 피터즈의 의미를 훨씬 더 정확하게 표현한다고 생각된다. 요컨대 initiation은 단순히 ‘활동을 처음 시작하여 일정한 경지에 다다른 것’을 나타낸다기보다는 ‘아이가 법적, 사회적 의미에서의 어른이 되는 것’(Mündigkeit)을 뜻한다고 보아야 한다.
_ 이홍우, <교육의 개념>, 문음사, 1991.
Charles and Emma: The Darwins’ Leap of Faith
“다윈에게 아내의 종교적인 신념은 자신의 생각을 세상이 어떻게 받아들일지 비춰주는 거울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