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chive for April, 2010

April 17, 2010: 11:46 pm: bluemosesErudition

“남조선 괴뢰군부 호전광들과 우익 보수정객들은 침몰 원인을 규명할 수 없게 되자 불상사를 우리와 연계시켜 보려고 어리석게 획책하고 있다.” _ 북한군사논평원(2010. 4. 17.) 결국 이렇게 되는 것인가. ‘통킹만 사건’을 기억하자.

“한국이 한국인에게 손가락질 한 번 해본 일이 없는 베트남인들을 죽이기 위해서 연 몇 십만 명의 군대를 파병하게 된 계기와 배경을 아세요? 물론 모르겠지. 모르는게 당연하다구. 그것은 1964년 8월 2일에 일어난 소위 ‘통킹만 사건’을 계기로 미국이 월맹에 대한 무차별 전면공습을 개시한 65년에 들어서예요. 그런데 이 ‘통킹만 사건’이라는 것은, 미국 군대가 얼마나 치밀하게 허구를 날조했는가 하는 것을 보여주는 가장 큰 날조사건이야. 쉽게 말하면, 월맹 수도인 하노이의 외항인 통킹만에서 미국 해군 구축함 매덕스호와 터너 조이호가 공해상에서 어느 날 순찰을 하고 있는데, 월맹 어뢰정이 야밤에 그 공해상에서 그 구축함에게 어뢰 공격을 가했다는 거요. 미국은 이것이 공해상에서 일어난 미국에 대한 중대한 도전이라고 전 세계에 발표해요. … 그런데, 들어보시오. 이 미국의 베트남 전면전 확대의 계기가 되었던 소위 월맹 어뢰정의 미국 구축함 공격이라는 것은, 그 사건 1개월 전부터 미국 해군과 최고 전쟁기획 당국에서 만들어낸 완전한 가공의 시나리오에 따른 것이지. 훗날 미국 의회 내에서 폭로가 돼요. 이런 중대한 조작사건을 비롯해 헤아릴 수 없이 많은, 미국의 월남전 정책 이면에 은폐된 흉악한 사실들이 1972년에 <뉴욕 타임스>와 <워싱턴 포스트>에 의해 폭로되어 전 세계에 보도된 이 ‘펜타곤 페이퍼’(베트남전쟁에 관한 미국 정책기관의 최고 극비문서 모음집)에 낱낱이 기록돼 있어요. 우리 지식인들이 침략전쟁이나 전쟁 모험주의자들이 국민의 생명을 담보로 집단적, 계급적, 또는 국가적 이기주의에 바탕해서 저지르는 전쟁행위에 대해서 언제나 날카로운 의식과 예민한 감각을 가지고 감시해야 한다는 사실을 이 펜타곤 페이퍼가 말해주고 있어.”(리영희, 2005: 344~345)

: 11:33 pm: bluemosesErudition

1. 철학은 “사실의 현상적인 분석과 기술이라기 보다는 그 내면적 근거와 본질 및 전체적 의미관계를 통찰하여 보다 근원적으로 사태를 파악하고 판단하는 능력”이다(蘇光熙, 李錫潤, 金正善, 1999: 30). 현상을 분석, 기술, 예측하는 ‘과학’이 심층의 과학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철학적 탐구가 요청된다. 예컨대 쿼크의 가정에 의거한 양자이론의 고안을 들 수 있다.

2. 철학이 근원적으로 사태를 탐구하는 방법론이라면, 사상은 정합적으로 세상을 규정하는 세계관이다. 이 정의에 따르면, 실존주의나 맑스주의 등의 주의주장(-ism)은 모두 사상으로 분류된다. 다음의 두 가지 언급을 유념하자.

1) “정통 마르크스주의는 마르크스의 연구결과를 무비판적으로 인정하는 것을 뜻하지 않으며, 이러저런 주장에 대한 ‘믿음’이나 어떤 ‘신성한’ 책의 해석을 뜻하지도 않는다. 마르크스주의적 문제에서의 정통성이란 오로지 방법에만 관련된다. 정통성은 변증법적 마르크스주의 속에서 올바른 연구방법이 발견되었으며, 이 방법은 오직 그 창시자들(마르크스와 엥겔스)의 정신에 따라서만 확장, 확대, 심화될 수 있다는 과학적 확신이다(Lukács, 1970[2005]: 64).”

2) “그는 두 딸이 선택한 사위들을 못마땅해 했고 노동계급운동의 다툼에 지겨워했으며 그의 추종자들을 끊임없이 심란하게 만든 말 - “나는 마르크스주의자가 아니다” - 을 내뱉었다. 그러고는 어느 3월 오후에 조용히 세상을 떠났다(Heilbroner, 1998[2005]: ; McLellan, 1973: 443).”

: 12:39 pm: bluemosesErudition

“오프라 윈프리의 자서전인줄 알고 샀는데, 자서전은 아니고 그 이상의 것이 담겨져 있다. 다시 말해 오프라 윈프리가 과거에 걸어온 길을 알고 싶어서 샀는데, 이 책은 지금의 오프라 윈프리와 우리, 그리고 앞으로의 오프라 윈프리와 우리에 대해 이야기 하고 있다. … 처음 몇 장 읽어 보고, 몇 번 시도하였으나 결국 포기했다. 혹시 이 책을 사려고 결심한 분, 혹시 부산 해운대 근처에 살고 계시다면 나에게 연락을 달라. 나에게 커피 한 잔 사주면 내가 이 책 그냥 준다.”(밀어준다) _ 자기계발을 ‘위한’ 책과 자기계발에 ‘관한’ 책의 간극. +)독서의 양과 질은 竝進하지 않는다.

April 16, 2010: 4:30 pm: bluemosesErudition

“인간의 욕망이나 의지 등에 의해서 지배되는 윤리적 가치 이외에 다른 가치가 있다고 한다면, 그것은 욕망이나 의지에 기초를 두지 않은 새로운 가치이어야 한다. 그것은 예술적 가치이다.” 따라서 “예술적 가치의 입장에 서있는 사람들은 음란물에 대해 판단하지 않는다.”

: 4:06 pm: bluemosesErudition

1. 사회를 연구하는 3가지 축은 시간(역사), 공간(지리), 인간(체제)이고 하나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나머지 둘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간과하기 쉬운] 동어반복이겠지만, 시간과 공간과 인간은 사회의 3요소이기에 각각은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있고 하나가 변하면 다른 둘도 변한다.

2. 시간은 의식의 흐름이다. 물리적 시간은 사회 속에서 상대적 시간으로 변모한다. 24시간 사회는 어떻게 시간을 구성하는가. 두 가지를 변인을 고려하자: 1)소비자, 2)생산자.

3. 밤의 노동자를 양산하는 시장의 시간적 확대(글로벌은 공간과 시간을 아우르는 범위이다), 밤의 노동자를 착취하는 낮의 노동자, 양자의 경쟁구도 속에 부상한 평생학습사회 인적자원개발의 총화인 자기계발. 그것을 추동하는 암묵적 리더십과 통제되는 정서적 팔로워십(참고).

: 2:38 pm: bluemosesErudition

1. 아이티(1. 12.), 한국 인천(2. 9.), 칠레(2. 27.), 대만(3. 4.), 중국 탕산(3. 6.), 터키(3. 8.), 필리핀(3. 26.), 일본(3. 30.), 태국(4. 5.), 인도네시아(4. 7.), 중국 칭하이성(4. 14.), 멕시코/과테말라(4. 18.), 한국 안동(4. 27.) 지진 그리고 아이슬란드 화산 폭발(4. 14.). 자연재해 관련 보도를 접하며 인간이 거주하는 시간과 공간의 토대를 의식하게 되었다.

2. “절정에 이르렀던 중세의 봄은 여름을 거치지도 않고 가을로 접어들었다. 1300년경부터 유럽은 추워지기 시작했다. 1315년 부활절이 지나고 삼 주일 뒤부터는 엄청난 비가 오래도록 내렸다. 어떤 연대기 저자는 ‘감당할 수 없이 많은 양의 비가 하늘로부터 내려와 온 땅을 거대한 깊은 흙탕 늪으로 만들었다’라고 썼다. 중세인들은 이것을 분노한 신의 처벌이라고 생각했다. 이상하게 그 당시부터 유럽대륙에는 하루도 조용할 날이 없었다. 여기저기서 벌어지는 전쟁, 끊임없는 살육, 군대의 원정이 그치지 않았고, 탐욕과 무절제한 야심에서 벌어지는 충돌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일어났다. 평탄하다 못해 지루하기까지 했던 농부의 삶은 금세 고통으로 가득 찼다. 1315년 유럽 북부 지역의 마을은 이미 절망적이었고, 1316년 말경 농부들과 노동자들은 결국 거지가 되었다. 그들은 죽은 가축을 먹거나 들판의 풀을 먹으며 간신히 살아갔다. 유럽의 공동체들은 차례로 절망에 빠지고 붕괴되었다. 이 모든 붕괴가 1348년의 흑사병으로 결정타를 맞았다. … 신비주의는 어지롭고 고통스러운 세상에 등장하는 반지성주의의 최절정이다. 신비주의는 이성적 분별을 무시하고 모든 것을 무차별로 통합시키고자 하는 시도이다. 그런 까닭에 니콜라우스 쿠자누스에서 완성된 신비주의는 ‘중세의 가을’의 사상적 결정판이라 할 수 있다. 그는 중세에 커다란 영향을 끼친 신비주의자 에크하르트의 편을 들어 아리스토텔레스주의를 공격하고 ‘유식한 무지’를 옹호하였다.”

3. 종말론을 향해 치닫는 새로운 중세가 임박하였다. 그렇게 추정된다. 만화로 된 요한계시록의 출간은 의미 있는 사건이다. 인문 고전의 공부가 요청된다. 

April 14, 2010: 2:25 am: bluemosesErudition

1. “서력기원(약칭 西紀)은 ‘그리스도의 탄생의 해’라고 믿었던 시점을 기준으로 역사상의 경과 연령을 정한 것인데, BC와 AD를 말한다. 상식적인 이야기이지만 BC란 Before Christ의 약호이고, AD란 Anno Domini, 곧 ‘주의 해’라는 뜻의 라틴어이다. 이 서력기원은 526년 스키티아 출신의 로마의 수도사이자 연대사가(年代史家)였던 디오니시우스 엑시구스(Dionysius Exigus)가 교황의 명을 받아 <부활제의에 관한 책>을 저작한 일에서 시작되었다고 한다. 이 서력 연호는 9세기 샤를마뉴 시대에 와서 일반화하였고, 그 후 오늘에 이르기까지 보편적인 연호로 사용되고 있다.”

2. 영어 History는 그리스어 Historia에서 유래하였다. 역사학의 아버지 헤로도토스는 페르시아 전쟁에 관한 저서명을 Historia라 하였고, 아리스토텔레스는 Historia를 “knowledge obtained by inquiry”라는 의미로 사용하였다.

April 13, 2010: 11:44 pm: bluemosesErudition

眞, 善, 美: 1) 진리와 인식, 2) 형이상학과 존재론, 3) 가치A: 도덕과 윤리 4) 가치B: 미와 예술

: 11:10 pm: bluemosesErudition

“The full index of articles published in NLR since its foundation, arranged by author and subject, with a listing of all books reviewed. Accompanied by a brief history of the journal and a concordance.” _ New Left Review: Index of Articles and Authors, 1960~2010

: 10:42 pm: bluemosesErudition

요구분석의 준거로서 지식(Knowledge), 기술(Skill), 태도(Attitude)의 3가지 역량을 지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