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chive for January, 2016

January 22, 2016: 8:40 am: bluemosesErudition

“But sexual immorality and all impurity or covetousness must not even be named among you, as is proper among saints. Let there be no filthiness nor foolish talk nor crude joking, which are out of place, but instead let there be thanksgiving.”(Ephesians 5:3-4)

: 12:00 am: bluemosesErudition

C. S. 루이스 번역서를 모두 읽도록 한다.

January 21, 2016: 11:53 pm: bluemosesErudition

Mere Christianity,The Screwtape Letters, The Problem of Pain

The Question of God(Nicholi), C. S. Lewis(McGrath)

: 4:32 pm: bluemosesErudition

알래스카에서 유네스코로

: 4:31 pm: bluemosesErudition

알래스카, 미개척 천연자원의 보고

: 11:38 am: bluemosesErudition

Why do you see the speck that is in your brother’s eye, but do not notice the log that is in your own eye? How can you say to your brother, ‘Brother, let me take out the speck that is in your eye,’ when you yourself do not see the log that is in your own eye? You hypocrite, first take the log out of your own eye, and then you will see clearly to take out the speck that is in your brother’s eye. “For no good tree bears bad fruit, nor again does a bad tree bear good fruit, for each tree is known by its own fruit. For figs are not gathered from thornbushes, nor are grapes picked from a bramble bush. The good person out of the good treasure of his heart produces good, and the evil person out of his evil treasure produces evil, for out of the abundance of the heart his mouth speaks.(Luke 6:41-45)

“A disciple of Jesus must learn about and follow him before professing their self to be somebody’s teacher and leader. This is because the hypocrisy of teaching somebody without learning the word, or leading others without following Jesus, brings danger to the self and others. Rather than trying to do a lot of work, strive more to live as a disciple who resemble Jesus and a child who resembles the Father.”

“Only those who are obedient to the teachings of Jesus will have firm faith, and not until then can one become a teacher who leads another person to God.”

January 20, 2016: 10:00 pm: bluemosesErudition

“신학적 성취가 마치 신앙적 성숙인 것처럼 생각하는 풍토에서” “오늘날 가장 큰 문제는 교단과 교파를 떠나 목회자나 성도들이 믿고 신뢰할 수 있는 공인된 성령사역이나 치유사역 단체가 없다는 것”(손기철)

: 1:48 pm: bluemosesErudition

자발적 학습의 시작은 문제의식의 발로다. 숨겨 있는 욕구를 일깨우면 그것은 필요가 된다. 잠재적 동기 유발이 관건이다.

학교, 학급 붕괴는 이미 과거의 일이다. 그러나 교실은 아직 그렇지 않다. 수업이 이루어지면 오히려 교실은 팽창한다.

: 1:03 pm: bluemosesErudition

칼 오베 크나우스고르는 “1968년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태어나, 베르겐 대학에서 문학과 예술을 전공했다. 1998년 첫 소설 『세상 밖에서』로 노르웨이 문예비평가상을 받았다. 2004년 두 번째 소설 『어떤 일이든 때가 있다』도 비평가들에게 호평을 받았다. 세 번째 소설 『나의 투쟁』 이후 그의 삶은 완전히 변했다. 그의 자화상 같은 소설은 2009년부터 2011년까지 총 6권, 3,622쪽으로 출간되어 노르웨이에서 기이한 성공을 거두었다. 총 인구 500만 명의 노르웨이에서 50만 부 이상이 팔렸다. 모든 것이 이례적이었다. ‘크나우스고르 현상’이 일어났다.”

: 12:25 pm: bluemosesErudition

1. 기질(MBTI 대체)

2. 다섯 가지 사랑의 언어

3. 바운더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