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chive for November, 2016

November 7, 2016: 12:39 am: bluemosesErudition

“없으면 없는 대로 섬깁니다.”

: 12:37 am: bluemosesErudition

돌(행위), 생계(이유), 대성당(의미) _ 세 사람

November 6, 2016: 8:03 pm: bluemosesErudition

하우어워스는 키에르케고어의 문제의식을 이어 받았다. 그것은 그리스도계의 비판이다.

: 1:46 am: bluemosesErudition

누구를 어떻게 용서해야 하는가. 고린도 교인에게 보낸 바울의 서신을 보라.

: 1:33 am: bluemosesErudition

성서가 제시하는, 용서와 혐오의 기준은 공동체의 존폐이다. 아직 공동체의 덕을 갖추지 못한 이는 용서하나, 재차 공동체의 연합을 훼파하는 자는 혐오한다.

: 1:21 am: bluemosesErudition

“As for a person who stirs up division, after warning him once and then twice, have nothing more to do with him, knowing that such a person is warped and sinful; he is self-condemned.”(Titus 3:10‭-‬11 ESV)

November 5, 2016: 7:22 pm: bluemosesErudition

“국제 협약의 상황에서 국내의 비준을 얻을 수 있는 모든 합의의 집합”(퍼트남, 양면게임이론)

: 1:22 pm: bluemosesErudition

선조들의 어록(B.C. 3 ~ A.D. 2), 필로칼리아(A.D. 4~15)

: 1:20 pm: bluemosesErudition

“‘필로칼리아(Philokalia)’라는 말은 아름다운 것, 고귀한 것, 탁월한 것에 대한 사랑을 의미합니다. 이 아름답고, 고귀하고, 탁월한 것은 초월적인 삶의 원천이자 진리의 계시로 이해됩니다. 필로칼리아는 4세기부터 15세기 사이에 동방 정교회 전통의 영적 대가들이 기록한 글을 모아 엮은 책입니다. 필로칼리아는 18세기에 그리스 아토스 성산의 성 니코디모스와 고린도의 성 마카리오스가 편집한 것으로서 1782년 베니스에서 처음 출판되었고 두 번째 판본은 1893년 아테네에서 출판되었습다. 세 번째 판본은 아스티르(Astir) 출판사가 1957년부터 1963년 사이에 아테네에서 출판한 것으로서 총 다섯 권으로 되어 있습니다.”

: 1:05 pm: bluemosesErudition

“교회사 전체를 개괄하는 책으로는 후스토 곤잘레스나 윌리스턴 워커가 쓴 저서들이 정평 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