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chive for May 14th, 2010

May 14, 2010: 5:10 am: bluemosesErudition

“표준시의 개념은 각 사회에서 자체의 태양시를 사용함으로써 야기되는 혼란을 해소하기 위해 19세기 후반 채택되었다. 서로 떨어진 지역에서 서로 다른 지방시를 기록해서 생기는 철도 시간표의 혼란 때문에 표준시의 필요성이 증가하게 되었다. 표준시의 채택은 특히 지방시가 수 시간씩 다른 지역들을 여러 개의 대규모 철도가 통과하는 미국과 캐나다에서 절실했다. 따라서 캐나다 철도 계획 수집자이며 공학자인 샌드포드 플레밍(Sandford Fleming)이 1870년대 후반에 전 세계 표준시를 위한 계획의 윤곽을 수립하고, 이 계획에 따라 1884년 27개 국가의 대표들이 미국 워싱턴에 모여 현재 사용되는 것과 같은 기본 체계에 합의했다.”

: 5:09 am: bluemosesErudition

“지중해 주변은 여름철이면 사하라 사막의 열풍이 지중해를 넘어 그대로 불어오기 때문에 한낮의 기온이 40℃에 이른다. … 여름이면 덥기만 할 뿐 비가 거의 오지 않기 때문에 이 지역에서는 껍질이 두껍고 뿌리가 깊은 농작물만 재배 가능하다. 즉, 올리브, 오렌지, 포도 등이 주로 재배되는데 감람나무라고 불리는 올리브나무는 지중해 연안의 국가들에게는 매우 남다르다. 지중해 지역의 특성상 여름에는 비가 한 방울도 내리지 않는 쨍쨍한 날씨가 계속되는데, 다른 식물들은 이 기간 동안 거의 말라죽는 경우가 많지만 올리브나무는 오히려 이 기간 동안 충분히 양분을 모아 두었다가 가을이 되면 가지가 휘도록 열매를 맺는다. 전 세계 올리브나무의 약 90%가 지중해 연안 지역에서 재배되며 그 중 60%는 이탈리아, 에스파냐, 그리스 지역에 집중되어 있다.”

: 5:07 am: bluemosesErudition

‘왜 힌두교도는 소(牛)를 신성시 여기는가?’를 상기하다, 떠오른 책들은 다음과 같다: 1)마빈 해리스의 <문화의 수수께끼>, 2)조셉 테인터의 <문명의 붕괴>, 3)브라이언 페이건의 <기후는 역사를 어떻게 만들었는가>. 체제를 주초하는 기본값의 변경에 따른 문명의 위기에 직면하여 어찌할 도리가 없는 인간은 초월적인 종교에 의거하여 기존의 일상과 급격한 단절을 감행한다.

: 4:50 am: bluemosesErudition

“서양의 교육고전으로서 꼭 읽어야 할 책이 있다면 그것은 플라톤의 대화편 <국가론>과 루소의 교육론적 소설 <에밀> 두 권이다. 두 책은 모두 인간과 그 사회(즉 국가)는 교육에 기원을 두고 있을 뿐만 아니라 교육이 없다면 인간도 그 사회도 없다는 점을 보여준다. … 이 책의 첫 구절은 자연의 찬미로 시작된다. ‘조물주의 손이 닿은 것이면 무엇이든 선하다. 그러나 인간의 손이 닿으면 무엇이든 타락한다.’ 이 책의 전반부에서 루소는 자연 속에서의 교육, ‘자연을 따르는 교육’을 역설하지만 이것은 이 책을 끝까지 읽을 인내심이 부족한 사람에게 오해를 불러일으킨다. 곧 루소가 말하는 교육은 문자 그대로 ‘자연으로 돌아가도록 하는 일’이라는 오해가 그것이다. 인간은 이미 오래전에 문명이라는 다리를 건넜고, 이 다리는 한 번 건넌 이상 되돌아가는 것은 불가능하다. 루소 자신도 이 사실을 너무나 잘 알고 있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문명 파괴를 외치면서 우리의 아이들을 원시자연 속으로 돌려보낼 수도 없고(그런 ‘원시자연’은 이미 없다), 위선으로 가득 찬 사회문명 속에서 우리의 아이들이 비열한 ‘부르주아의 삶’을 계속하도록, 그것을 ‘더 잘 살도록’ 내버려둘 수도 없다. 이 딜레마를 어떻게 할 것인가? 이것이 에밀을 읽는 독자가 관심을 집중해야 할 부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