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chive for November 26th, 2010

November 26, 2010: 7:15 pm: bluemosesErudition

1. “장하준 케임브리지대 교수는 <그들이 말하지 않는 23가지>에서 지난 30년을 돌아보면 주류 자유시장 경제학자들보다 비주류 학자들의 조언이 더 유효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비주류 경제학자의 대표적 예로 앨버트 O. 허시먼을 꼽았다.”

2. “18세기 프랑스 혁명과 인권선언, 19세기 보통선거 도입, 20세기 복지국가 수립까지 다양한 역사적 사례와 논쟁을 분석해 변화에 ‘반동(react)’하려는 3가지 논리를 정리했다. 역효과(perversity), 무용(futility), 위험(jeopardy) 명제가 바로 그것이다.”

3. “‘왕권ㆍ교회ㆍ귀족과 민중의 파괴 위에 세워진 비천한 과두정치는 인간의 권리나 평등에 대한 모든 거짓된 꿈과 희망을 종식시킬 것이다. 학살, 고문, 처형! 이것이 이른바 인권이라는 것이다.’ 영국의 정치사상가 에드먼드 버크가 <프랑스 혁명에 관한 고찰>(1790)에서 한 이런 추측은 신성동맹 시대 유럽의 이데올로기적 버팀목이 되는 역사법칙으로 굳어졌다.”

* Albert O. Hirschman(1991). The Rhetoric of Reaction: Perversity, Futility, Jeopardy

: 12:14 pm: bluemosesErudition

1. Robert Frost 

Two roads diverged in a yellow wood,

And sorry I could not travel both

And be one traveller, long I stood

And looked down one as far as I could

To Where it bent in the undergrouth;

 

Then took the other, as just as fair,

And having perhaps the better claim,

Because it was grassy and wanted wear;

Though as for that the passing there

Had worn them really about the same,

 

And both that morning eqully lay

In leaves no step had trodden black.

Oh, I kept the first for another day!

Yet knowing how way leads on to way,

I doubted if I should ever come back.

 

I shall be telling this with a sigh

Somewhere ages and ages hence;

Two roads diverged in a wood, and I ……

I took the one less travelled by,

And that has made all the difference.

 

2. 피천득 옮김

노란 숲 속에 길이 두 갈래로 났었습니다.

나는 두 길을 다 가지 못하는 것을 안타깝게 생각하면서,

오랫동안 서서 한 길이 굽어 꺾여 내려간 데까지,

바라다볼 수 있는 데까지 멀리 바라다보았습니다.

 

그리고, 똑같이 아름다운 다른 길을 택했습니다.

그 길에는 풀이 더 있고 사람이 걸은 자취가 적어,

아마 더 걸어야 될 길이라고 나는 생각했었던 게지요.

그 길을 걸으므로, 그 길도 거의 같아질 것이지만.

 

그 날 아침 두 길에는

낙엽을 밟은 자취는 없었습니다.

아, 나는 다음 날을 위하여 한 길은 남겨 두었습니다.

길은 길에 연하여 끝없으므로

내가 다시 돌아올 것을 의심하면서…….

 

훗날에 훗날에 나는 어디선가

한숨을 쉬며 이야기할 것입니다.

숲 속에 두 갈래 길이 있었다고,

나는 사람이 적게 간 길을 택하였다고,

그리고 그것 때문에 모든 것이 달라졌다고.

 

3. 김종길 옮김

노랗게 물든 숲 속 두 갈래 길을

다 가 보지 못할 일이 서운하여서,

풀섶 속에 길이 구부러지는,

눈 닿는 데까지 오래오래

우두커니 선 채로 바라보았네.

 

그리곤 나는 갔네, 똑같이 좋고,

사람이 밟지 않고 풀이 우거져

더 나을지도 모르는 다른 길을,

사람이 별로 다니쟎기론

두 길은 실상 거의 같았네.

 

그리고 두 길은 다 그날 아침

밟히쟎은 가랑잎에 덮혀 있었네.

아 첫째 길은 훗날 가리고 하고!

길은 길로 이어짐을 알았기에

돌아오진 못하리라 생각했건만.

 

세월이 오래오래 지난 뒤에

나는 한숨 지으며 이야기하리.

두 길이 숲 속에 갈라져 있어

사람이 덜 다닌 길을 갔더니

그 때문에 이렇게도 달라졌다고.

 

4. 정현종 옮김

단풍 든 숲 속에 두 갈래 길이 있더군요.

몸이 하나니 두 길을 다 가 볼 수는 없어

나는 서운한 마음으로 한참 서서

잣나무 숲 속으로 접어든 한쪽 길을

끝간 데까지 바라보았습니다.

 

그러다가 또 하나의 길을 택했습니다. 먼저 길과 똑같이 아름답고,

아마 더 나은 듯도 했지요.

풀이 더 무성하고 사람을 부르는 듯했으니까요.

사람이 밟은 흔적은

먼저 길과 비슷하기는 했지만,

 

서리 내린 낙엽 위에는 아무 발자국도 없고

두 길은 그날 아침 똑같이 놓여 있었습니다.

아, 먼저 길은 한번 가면 어떤지 알고 있으니

다시 보기 어려우리라 여기면서도.

 

오랜 세월이 흐른 다음

나는 한숨 지으며 이야기하겠지요.

“두 갈래 길이 숲 속으로 나 있었다, 그래서 나는 -

사람이 덜 밟은 길을 택했고,

그것이 내 운명을 바꾸어 놓았다”라고.

 

5. 천승걸 옮김

노란 숲 속에 길이 두 갈래로 갈라져 있었습니다.

안타깝게도 나는 두 길을 갈 수 없는

한 사람의 나그네라 오랫동안 서서

한 길이 덤불 속으로 꺾여 내려간 데까지

바라다볼 수 있는 데까지 멀리 보았습니다.

 

그리고 똑같이 아름다운 다른 길을 택했습니다.

그럴 만한 이유가 있었습니다. 거기에는

풀이 더 우거지고 사람 걸은 자취가 적었습니다.

하지만 그 길을 걸음으로 해서

그 길도 거의 같아질 것입니다만,

 

그 날 아침 두 길에는 낙엽을 밟은 자취 적어

아무에게도 더럽혀지지 않은 채 묻혀 있었습니다.

아, 나는 뒷날을 위해 한 길은 남겨 두었습니다.

길은 다른 길에 이어져 끝이 없었으므로

내가 다시 여기 돌아올 것을 의심하면서

 

훗날에 훗날에 나는 어디에선가

한숨을 쉬며 이 이야기를 할 것입니다.

숲 속에 두 갈래 길이 갈라져 있었다고,

나는 사람이 적게 간 길을 택하였다고,

그것으로 해서 모든 것이 달라졌다라고.

: 11:45 am: bluemosesErudition

1-1. “少年易老學難成, 一寸光陰不可輕, 未覺池塘春草夢, 階前梧葉已秋聲.” _ 朱熹(1130~1200), <朱文公文集> 勸學文.

1-2. “白日依山盡, 黃河入海流, 欲窮千里目, 更上一層樓.” _ 王之渙(688~742), 登觀鵲樓.

 

2-1. 배움(Eruditon)은 일종의 모순적인 사태이다. 주어진 틀을 체화하고 또 그것을 넘어서는 이중적인 작업이기에 그러하다. 토마스 쿤의 ‘본질적 긴장’(essential tension)을 기억하자.

2-2. “쿤은 과학연구에 있어서 ‘발산적 사고’(divergent thinking)라고 부를 수 있는 자유롭게 사고하고 다양한 대안을 편견 없이 고려하는 열린 마음의 연구태도뿐 아니라, ‘수렴적 사고’(convergent thinking)라고 부를 수 있는 연구태도도 역시 매우 중요함을 강조했다. 이 두 가지 사고를 중시하는 과학연구 방법은 당연히 서로 긴장관계에 놓이게 되는데, 쿤은 과학활동에 있어서 이 두 사고들간의 ‘본질적 긴장’(essential tension)을 적절하게 조절하면서 연구를 수행하는 것이 과학적 창조성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제안했다. 본 발표에서는 쿤의 제안으로부터 출발하여 알버트 아인슈타인이 상대성 이론을 만들어나가는 과정에서 어떤 방식으로 창조성을 발휘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과학적 창조성에 대한 실마리를 찾아가려 한다.”(이상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