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패하면 괴로웠고, 기술적인 탁월함이 곧 도덕적 요건이라는 점을 깨달았다. … 그는 1밀리리터의 (시상하부) 손상 때문에 괴물이 되었다.” “폴, 여기서 2밀리리터 더 깊이 자르면 어떻게 되겠나? … 락트인 증후군(locked-in syndrome) 상태에 빠지지.”
“고대 그리스의 아레테라는 개념처럼, 덕은 도덕적, 감정적, 정신적, 육체적 탁월함을 요구한다.” “늘 왼손으로 식사하도록 하게. 양손을 다 잘 쓰는 법을 배워야 해.”
“실패하면 괴로웠고, 기술적인 탁월함이 곧 도덕적 요건이라는 점을 깨달았다. … 그는 1밀리리터의 (시상하부) 손상 때문에 괴물이 되었다.” “폴, 여기서 2밀리리터 더 깊이 자르면 어떻게 되겠나? … 락트인 증후군(locked-in syndrome) 상태에 빠지지.”
“고대 그리스의 아레테라는 개념처럼, 덕은 도덕적, 감정적, 정신적, 육체적 탁월함을 요구한다.” “늘 왼손으로 식사하도록 하게. 양손을 다 잘 쓰는 법을 배워야 해.”
Its heads give judgment for a bribe; its priests teach for a price; its prophets practice divination for money; yet they lean on the Lord and say, “Is not the Lord in the midst of us? No disaster shall come upon us.”(Micah 3:11)
* 저들의 기만은 상한 마음이 주는 카타르시스에 근거한다. 일말의 양심은 제멋대로 살게 하는 면죄부였다. 애덤 스미스의 동감은 얼마나 무력한 윤리적 기반인가. ‘애덤 스미스 구하기’는 애처로운 일이다.
“독점이 발생하면 소비자, 생산자 그 누구에게도 귀속되지 않고 흔적도 없이 사라져버리는 부분이 존재를 한다. 이러한 사회적 순손실을 경제학에서는 독점의 자중손실(deadweight loss)이라 부르고 있다. 자중(自重)이란 차량 자체의 중량을 뜻하는데,짐을 전혀 싣지 않아도 그 무게는 나가므로 총운반가능 중량에서 자체 중량은 빼주어야 한다. 그냥 없어져버린 사회적 잉여가 이와 성격이 비슷하다고 여겨졌기 때문에 자중손실이라 이름 붙여진 것이다.”
“그때부터 나는 환자를 서류처럼 대할 것이 아니라 모든 서류를 환자처럼 대하기로 결심했다.”(폴 칼라니티)
“개인의 저축률은 중년에 가장 높고, 노년이 되면 낮아지거나 마이너스로 돌아선다.” 미래 설계 시 너무나 당연히 여겨지는 ‘생애주기 가설’이다. 하지만 프랑코 모딜리아니가 1954년 이 가설을 처음 발표했을 땐 혁신적으로 여겨졌다. 그 이전엔 “소득 규모가 소비와 저축을 결정한다”는 케인스의 ‘절대소득 가설’이 통용됐다.
One of the most important and powerful passages of The Confessions relates the journey of the self toward wholeness. The scene, which occurs in book VIII, occurs in the garden of Augustine’s house in Milan, in July 386. Augustine was in poor health and felt his life was going nowhere. He no longer wanted to teach and wanted to abandon all his worldly ambitions of securing a glorious career. Throughout Confessions, Augustine is torn between two opposing forces, sexual desire and spiritual desire, and he confronts the conflict here one final time. … In his Milan garden, Augustine came to a decision that would forever end this struggle. In his garden, he heard a child’s voice saying, in Latin, “tolle, lege,” which means “take and read.” Augustine was reading the letters of Saint Paul, and he let the book fall open on its own. He was astonished to read the thirteenth verse of the thirteenth chapter of the Letter to the Romans, where Paul exhorts his readers to give up the way of the senses and walk the path of Christ. Augustine chose to heed Paul’s advice. He decided he would give up sex (which he began calling a “bitter sweetness”), never marry, and live a spiritual life. To implement these decisions, he decided to become a Christian and receive baptism as well as give up his teaching position. Augustine says he was flooded with peace and a great calm.
“The night is far gone; the day is at hand. So then let us cast off the works of darkness and put on the armor of light. Let us walk properly as in the daytime, not in orgies and drunkenness, not in sexual immorality and sensuality, not in quarreling and jealousy. But put on the Lord Jesus Christ, and make no provision for the flesh, to gratify its desires.”(Romans 13:12-14 ESV)
“For this is the will of God, that by doing good you should put to silence the ignorance of foolish people. Live as people who are free, not using your freedom as a cover-up for evil, but living as servants of God.”(1 Peter 2:15-16 ES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