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chive for December 9th, 2017

December 9, 2017: 4:34 pm: bluemosesErudition

브레히트의 ‘게스투스’는 한 개인의 심리나 정황을 표현하는 ‘제스처’와 달리 인간 상호간의 관계와 그 관계를 둘러싼 사회적 상황까지 드러낸다.

: 4:29 pm: bluemosesErudition

180. 브라이언 웨이는 피터 슬레이드가 행했던 연극(theater)과 드라마(drama) 구별하기를 한층 더 강하게 밀고 나갔다. 그러나 웨이는 인간 발달 이론을 받아들이면서, 아동 드라마(child drama)를 예술로 간주하는 슬레이드의 개념을 과감하게 버렸다. (중략) 드라마와 연극의 분리는 웨이에 의해 분명하게 이뤄졌다. “혼동하지 말아야 하는 두 가지 활동이 있다. 하나는 연극(theater)이고 다른 하나는 드라마(drama)이다.” 그는 이 용어들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정의하였다. “인간의 발달이라는 이 책의 목적을 위해 다음 두 가지 활동에 있는 주요 차이점을 밝히고자 한다. ‘연극(theater)’은 배우와 관객 사이의 커뮤니케이션과 연관되어 있고, ‘드라마(drama)’는 관객과의 커뮤니케이션과 관계없이 참여자들의 경험에 크게 연관되어 있다.”

235. 브레히트에 따르면, 연극은 철학자를 위한 장소가 된다. 월셔는 브레히트의 ‘몰입하면서 거리두기’(involved detachment) 개념이 모든 종류의 좋은 연극에 적용될 수 있지만, 브레히트의 학습 연극은 이 몰입하면서 거리두기라는 변증법적 양상에서 ‘거리두기’를 더 강조하려고 의도했다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강조는 히스코트가 전시장면을 사용할 때 의도한 측면과 같다. 관개이 의미를 읽도록 의도하여 만든 장면이, 나에게는, 연극을 연극이게 하는 최소한의 조건이다.

_ 개빈 볼튼, <교실연기란 무엇인가?>, 연극과인간, 2012.

: 4:23 pm: bluemosesErudition

1. Theater & Drama

2. Peter Slade, Dorothy Heathecote

: 3:57 pm: bluemosesErudition

Christmas Carol: Piano Christmas Song Collection